본문내용
1. 시편 개관
1.1. 저자
시편의 저자는 다윗을 위시한 여러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150편 중 다윗이 75편 가량, 솔로몬이 3편, 고라의 자손이 11편, 아삽이 12편, 헤만이 1편, 에단이 1편, 모세가 1편씩 각각 저작하였고 나머지 46편은 익명의 저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익명의 시편들 중 몇몇 작품은 신약 성경에서 다윗의 글로 인정되고 있지만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기가 힘들다. 이처럼 시편 저자들은 한결같이 여호와 신앙에 투철하였을 뿐만 아니라 탁월한 문학적 재능을 지닌 자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1.2. 기록 연대
시편은 1-41편, 42-72편, 73-89편, 90-106편, 107-150편의 다섯 부분으로 구분되며, 각 부분의 시편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작성되었다.
시편에 수록된 150편의 시는 모세 시대(B.C. 15세기)부터 포로 귀환 후 에스라 시대(B.C. 6세기)까지 약 900년에 걸쳐 다양한 저자들에 의해 쓰여졌다.
특히 대부분의 시편들은 다윗과 솔로몬 시대(B.C. 1050-930년)에 작시된 것으로 보인다. 다윗의 시로 소개된 편수가 75편 정도로 가장 많으며, 이중 14편은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언급하고 있어 작성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시편 전체의 정확한 수집 시기는 분명하지 않지만, 학자들은 1권은 다윗 사후 솔로몬에 의해, 2권은 고라 자손에 의해, 3권은 히스기야 시대의 아삽에 의해, 4권과 5권은 에스라와 느헤미야 시대에 각각 수집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최종적인 완성은 에스라 시대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1.3. 수신자
시편의 수신자는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시편은 이스라엘 백성과 후대의 모든 신앙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시편 기자들은 자신들의 신앙 체험과 신앙고백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과 나아가 모든 신앙인들을 향해 하나님의 구원과 통치에 대한 진리를 선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편은 개인적인 차원에서든 공동체적 차원에서든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체험한 신앙의 실제를 담고 있어, 당시와 이후의 모든 신앙인들에게 신앙의 범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시편은 특정한 청중을 염두에 두고 쓰여진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1.4. 기록 목적
시편의 기록 목적은 성령의 신령한 계시와 감화 감동 및 이에 대한 저자의 진지한 신앙적 반응을 솔직하게 보여줌으로써 오고 오는 모든 세대에게 신앙의 도전을 주며, 하나님을 찬양하고 기도드리는 신자의 기본 도리에 대한 깊은 공감대를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본서는 각종 공식 예배나 개인적 경건 생활에 있어 찬양과 기도의 모범으로 사용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1.5. 내용 구성과 특징
1.5.1. 외형적 특징
시편의 외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편은 총 150편의 개별 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시들은 다섯 권으로 구분된다. 각 권의 마지막 시(41, 72, 89, 106, 150편)는 모두 송영(頌詠) 형식으로 끝나고 있는데, 이는 당시 공식 예배의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음악적 표현이었다. 이러한 구분은 모세 오경 5권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각 시편의 초두에는 시편 내용과 관련된 제목이나 지시사항이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다윗의 시"나 "성전에 올라가는 노래" 등의 표제가 달려 있다. 이는 시편이 개인의 작시가 아닌 예배용 찬송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셋째, 시편이 수집되고 편집되는 과정에서 제 2권과 제 3권 사이에는 고라 자손의 시들(42-49편)이 한 군데 모여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 4권과 제 5권에는 주로 주제나 용도 등에 따라 시들이 묶여 있다.
이와 같은 외형적 특징들을 통해 볼 때, 시편은 개인의 작품이기도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들의 예배와 신앙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수집되고 편집된 성경 문서라고 할 수 있다. ""
1.5.2. 내용상의 특징
시편의 내용상의 특징은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