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강신념모형 간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건강신념모형과 건강증진이론
1.1. 건강신념모형
1.1.1.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개념
1.1.2. 필자의 생활습관 행위 특성과 아델의 안녕모형
1.2. 건강증진이론
1.2.1. 건강증진이론의 구성요소
1.2.2. 본인의 건강문제나 생활습관관련 행위양상
1.3. 건강신념모형과 건강증진이론의 차이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건강신념모형과 건강증진이론
1.1. 건강신념모형
1.1.1.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개념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건강신념모형은 미국의 공중보건 심리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건강행위를 예측하고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이론이다. 이 모형은 개인의 주관적인 건강신념이 건강행위를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첫째, 지각된 민감성은 개인이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 즉, 자신이 특정한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지각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예방행위를 더 잘 실천하게 된다."
둘째, 지각된 심각성은 개인이 질병으로 인해 겪게 될 수 있는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결과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정도를 말한다. 이를테면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당뇨 관리를 더 잘 하게 된다."
셋째, 지각된 유익성은 특정한 건강행위를 실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한 개인의 믿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믿는 정도가 클수록 검진 행위를 더 잘 실천하게 된다."
넷째, 지각된 장애성은 특정한 건강행위를 실천하는데 따르는 어려움이나 장애 요인에 대한 개인의 인식 정도를 말한다. 예방행위를 실천하는데 따르는 비용, 시간, 불편함 등이 클수록 그 행위를 덜 실천하게 된다."
다섯째, 행동 계기는 개인으로 하여금 건강행위를 실천하도록 촉발시키는 내적 또는 외적 자극요인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사의 권유, 가족의 걱정, 대중매체의 캠페인 등이 행동 계기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은 특정한 건강행위를 성공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을 말한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행위 실천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건강신념모형은 개인의 주관적 신념과 인지가 건강행위를 결정한다고 보며, 이 모형...
참고 자료
김영임 ,박영임 ,이규영 (2019) 보건교육.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명, 고승덕 외 3명 (2014) 보건교육 건강증진 이론. 계축문화사
박정숙 (2014) 건강증진 (이론과 실제). 계명대학교출판부
방송대 강의안 자료
나주시 임산부 건강증진프로그램 재개. [e미래뉴스]. 미래교육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