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지스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로지스틱 방정식을 활용한 여러 생명 현상 분석
1.1. 생장곡선 그래프
1.2. 기질의 농도에 따른 효소의 반응속도 그래프
1.3. 전염병 예측
2. 시그모이드 함수의 수학적 특성 및 응용
2.1. 시그모이드 함수의 특징
2.2. 시그모이드 함수의 미분 및 활용
3. 코로나 19 확진자 추이 분석
3.1. 코로나 19 예상 확진자 그래프
3.2. 로지스틱 미분 방정식을 활용한 분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로지스틱 방정식을 활용한 여러 생명 현상 분석
1.1. 생장곡선 그래프
생장곡선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개체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개체 수가 계속 늘어나는 이론적 생장곡선과 달리, 실제 생장 곡선은 환경의 저항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수가 유한한 값으로 수렴하는 s자형 그래프를 보인다. 이러한 실제 생장 곡선은 '로지스틱 방정식(logistic equation)'이라는 미분 방정식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로지스틱 방정식은 개체수가 0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점점 증가율이 올라가다가 어느 순간부터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환경의 수용 한계 개체수에 도달하면 더 이상 개체수가 증가하지 않는 현상을 잘 설명한다. 로지스틱 방정식의 그래프는 s자 형태를 보이며, 이러한 모양은 환경의 저항으로 인해 개체수 증가가 제한되는 것을 반영한다.
이처럼 생장곡선 그래프는 실제 생명 현상을 잘 나타내는 수학적 모델인 로지스틱 방정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이 방정식은 개체군 성장을 단순하게 모사한 것으로, 생태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1.2. 기질의 농도에 따른 효소의 반응속도 그래프
기질의 농도에 따른 효소의 반응속도 그래프는 로지스틱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질과 결합할 수 있는 효소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질의 농도를 계속 높여도 특정 한계치에서는 반응속도가 일정한 값을 가진다"". 로지스틱 방정식의 K가 생장곡선에서는 한계 수용력이었다면, 기질의 농도-반응속도 그래프에서의 K는 효소가 기질과 모두 결합했을 때의 반응속도라고 할 수 있다"".
생명과학2 시간에 배운 효소 그래프는 일반효소 그래프이다"". 그러나 로지스틱 곡선과 비슷한 아로스테릭 효소 그래프의 효소는 일반 효소와 달리 결합 부위가 2개라고 한다"". 하나는 기질과의 결합부위지만 나머지 하나는 리간드(ligand)라고 하는 물질인데, 리간드가 효소에 결합하면 효소의 구조가 바뀌어 기질과 결합하지 못하는 저해효과(아로스테릭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생명과...
참고 자료
비상 미적분 교과서 p73 / p113
이와사 요, 김윤진 외 옮김, “수리 생물학 입문”
강혜정, 생명과학을 위한 수학
미생물학 입문 / Benjamin. S. Weeks / 월드사이언스 / 2013 / p.172~173
https://en.wikipedia.org/wiki/Sigmoid_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