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선릉 발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수의적 음운 현상에 대한 정의
2. 수의적 음운 현상의 양상
2.1. 수의적 음운 현상의 유형
2.2. 수의적 음운 현상의 특성
3.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다룰 수의적 음운 현상
3.1. 비교육 대상 항목
3.2. 교육 대상 항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본고는 한국어의 수의적 음운 현상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한국어 발음교육에서 교육할 필요가 있는 수의적 음운현상의 항목과 교수 방법까지 제시하고자 한다. 음운론에서 말하는 수의적 현상이란 일반적으로 동일한 음운론적 환경에서 어떠한 규칙이 적용되기도 하고 적용되지 않기도 하여 나타나는 것을 이른다. 수의적 현상은 음운론의 규칙에 벗어나는 현상으로 수의적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동일한 조건 환경을 갖추었더라도 규칙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 반면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 하지만 설명하기 어렵다고 해서 이를 음운론에서 빼고 설명하거나, 존재를 거북하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그 이유는 수의적 현상이 규칙성과는 별개로 우리가 발화할 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기존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대다수의 연구자들 또한 이러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음운 현상은 두 발음구조의 제약으로 인한 것만은 아니므로 모든 현상이 필수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또한 통시적인 관점에서 바라 봤을때 음운도 변화하고 규칙도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의적인 규칙이 존재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수의적 현상이 자체를 문제시하거나 부정하기 보다는 수의적 현상의 양상을 통해 일어나는 조건이나 원인을 탐구해보고 현상의 본질을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번째 목적이다. 두번째 목적은 이러한 원인 규명을 바탕으로 어떻게 외국인 화자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 것인가하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1.2. 수의적 음운 현상에 대한 정의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연구자마다 수의적 음운현상을 다르게 정의하고 있었다. Roger Lass의 경우 규칙이 적용되기도 하고, 되...
참고 자료
엄태수. "현대국어의 수의적 음운현상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 60.- (2014): 155-184.
임선우. "한국어 발음교육을 위한 수의적 음운현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2019. 서울
신승용. “수의적 음운 현상의 종류와 그 특성” 영남대학교. 2006-05-01 / No.142 / pp. 137 ~ 161
남기심·고영근(2011),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배주채(2013), 『한국어의 발음』, 개정판: 삼경문화사.
서보월(1995), 국어의 유음화와 비음화에 대하여, 『어문논총』 29(1), 경북어문학회, 115-143.
허용·김선정(200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박이정.
사전류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한국어기초사전』, http://krdic.korean.go.kr/main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