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사정
1.1. 일반적 특성
대상자는 51세의 남성으로, 결혼하지 않았으며 가족은 어머니, 아버지, 남동생, 여동생과 함께 살고 있다"". 그는 전북대학교 경영학과를 중퇴하였으며, 현재는 무직 상태이다"". 종교는 없고, 취미로는 게임과 노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건강력
1.2.1. 현병력
입원당시의 주 증상 및 주 호소는 "우울하고 무기력하고 몸이 축 쳐지는 느낌이 너무 심했어요"였다"" 입원당시 촉발사건은 군대 제대 후 스스로 정신이 이상하다고 느껴 부모님에게 직접 병원에 가자고 권유한 것이었다"" 대상자 자신의 현재 주 호소 및 질병상태는 "25년 전, 처음 처방받은 약 14알을 현재까지 매일 먹는 게 힘들어요", "제가 스스로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때에 약을 복용하는 것이 힘들어요", "근본적인 해결을 하고 싶은데, 이 약을 처방해준 의사를 찾지 못해서 그냥 먹고 있어요", "저녁에 약을 안 먹고 자면, 새벽 2시에 갑자기 꼭 깨요. 깨면 다시 잠을 못자요"였다""
1.2.2. 과거력
과거력에 따르면, 대상자는 군 입대 후 후임과의 문제 발생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응어리를 품은 채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이후 고2때 스트레스를 받아 irritability가 증가하였으나 단순한 사춘기 증상으로 여겼다. 추석부터는 "누가 나를 쳐다 본다"는 피해망상과 solioquy, silly smile과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 이에 local 정신과에 내원하여 약물치료와 상담치료를 받았으나, 자의로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서 밤새 조르고 irritability, violent behavior가 보였다고 한다. 또한 코 성형 후에도 irritability, violent behavior가 지속되었고 섭식량이 증가하였다. 이후에도 정신과 외래를 방문하였으나 의사에게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르는 등 협조적이지 않았으며, 당시 보호자가 요구르트에 약을 타서 먹이는 등 노력했지만 호전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처럼 대상자는 청소년기부터 증상이 발현되었고,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정신과적 치료를 받아왔음을 알 수 있다.
1.2.3. 가족력
가족력"은 조현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s)와 양극성 정동장애(Bipolar disorders)와 관련하여 조OO 대상자의 가족 내 유사 질환 발병 여부 및 병력을 의미한다. 대상자의 진술에 따르면 아버지의 경우 고혈압(Hypertension, HTN)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정신질환 병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OO 대상자의 가족력 상 조현정동장애와 양극성 정동장애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선행 질환이나 병력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3. 전반적 사정
1.3.1. 교환영역
영양 및 대사 영역은 대상자의 식사 상태, 체중 및 영양 상태, 위장관계 기능 등을 포함합니다. 본 사례에서 대상자는 "매일 남기지 않고 잘 먹어요. 집에서는 제가 해 먹고 가끔 어머니가 밥을 챙겨주세요"라고 하여 규칙적이고 적절한 식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복부에 지방이 많이 축적되어 있으며, 가당 음료 섭취도 많은 것으로 관찰되어 전반적인 영양 및 대사 상태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배변 상태에서도 일주일 전 열흘 동안 배변을 보지 못한 적이 있는 등 불규칙적인 양상이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한 변비와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 대상자의 영양 및 대사 영역에는 부적절한 식습관과 배변 문제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3.2. 기동영역
기동영역은 대상자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영역으로, 대상자의 운동기능, 활동량, 수면, 휴식 등을 포함한다"" 대상자는 움직임이 적고 체육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의 활동량이 적은 편이며,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아 밤새 잠을 못 자고 오전에 늦게 일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대상자의 피로감과 집중력 저하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신체활동 증진과 규칙적인 수면 습관 형성을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3.3. 관계영역
환자는 가족 중 어머니와 가장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어머니는 주요 지지체계로, 대상자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동생들도 용돈을 자주 주며 대상자와 편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부모님에 대한 생각에 큰 변화가 없으며, 가족들이 싫어하는데도 불구하고 고양이를 집에서 키우는 등 가족과의 갈등도 있었다"". 이처럼 대상자는 가족 구성원 중 어머니와 동생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만, 부모님과의 관계에서는 갈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4. 가치영역
대상자의 가치영역을 살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