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근종(Uterine Myoma)
1.1. 정의 및 분류
자궁근종(Uterine Myoma)은 평활근 세포에서 발생하여 근종(myoma) 또는 평활근종(leiomyoma)으로 불리는 양성 종양이다. 자궁근종은 여성 생식기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30~40대의 가임기 여성에게서 발생한다. 자궁근종의 분류는 근종의 발생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점막하근종(submucosal myoma)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 발생하는 근종으로, 약 5%를 차지한다. 점막하근종은 가장 예후가 좋지 않으며,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고 방사선 치료에 내성이 있다.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인이 되기 쉽고, 악성 변화의 위험이 높으며, 육경을 형성하여 자궁경부나 질 내로 이탈되기도 한다.
둘째, 근층내근종(intramural myoma)은 자궁근층 내 깊숙이 위치하는 근종으로, 자궁근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크기가 크고 다발성일 경우 자궁의 크기 자체가 커지면서 자궁내막의 면적이 증가하여 월경량이 증가하게 된다.
셋째, 장막하근종(subserosal myoma)은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 발생하는 근종이다. 근종이 늘어져 줄기 모양을 형성하기도 하며, 특히 임신 시 동반될 경우 종양 표면을 지나가는 혈관이 터져 다량의 복강 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자궁강내근종은 자궁내막 안에 위치한 근종으로 점막하근종의 한 종류이다. 작은 크기도 생리통이 심하고 불규칙한 출혈을 일으키며, 자궁경부를 통해 빠져 나오기도 한다.
다섯째, 유경성근종은 장막하근종의 일종으로 혈액을 공급해주는 줄기를 가지고 자궁 밖으로 성장하는 근종이다. 유경성근종은 크기가 매우 커도 생리통, 출혈 양과는 관련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자궁경부근종은 자궁경부와 인접하거나 바로 위치한 근종이다. 경관을 막아 생리혈 배출을 방해하여 생리통이 심하거나 지속적인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후방에 위치한 경우 변비, 허리통증을, 앞쪽에 위치한 경우 방광 자극증상을 보일 수 있다.
이처럼 자궁근종은 그 발생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며, 따라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1.2. 원인
자궁근종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에스트로겐에 의해 근종이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은 여성 생식기 종양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30~45세 가임기 여성에게 호발한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궁근종 발생률이 높아지며, 특히 4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병한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임신경험이 없는 경우, 비만한 경우에도 자궁근종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에스트로겐은 자궁근종의 성장을 촉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