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공유가치창출 기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1.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의
1.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배경
1.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
1.4.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특징
2. 공유가치창출(CSV)
2.1. CSV의 개념
2.2. CSV 전략
2.3. CSR과 CSV의 차이점
3.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실용적 대응방안
3.1. CEO의 역할
3.2. 수치화된 목표설정
3.3. 실질적인 경영
3.4. 정기적인 평가
3.5. 지속적인 개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1.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고 있는데, 이는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로도 불린다. 사회적 책임이란 기업의 제1목표인 기업의 존속을 위한 이윤 추구 활동 이외에 법과 윤리를 준수하고 기업의 이해관계자 요구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책임을 말한다. 이는 환경 보전과 소비자 보호, 지역사회 발전, 사회 공헌 등의 개념을 모두 담고 있다. 국제적 비영리단체인 BSR(Business for Social Responsibility)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윤리적 가치를 존중하고 사람, 공동체, 그리고 자연환경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두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은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이렇게 4가지로 구분된다.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이 이윤 추구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1.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배경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배경은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 때 처음 등장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경제개발과 기업의 발전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였다. 그 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점차적으로 활발해지면서, 그 이행을 기업에게 촉구하는 경향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기업들에게 사회적 책임을 더욱 잘 이행하라고 촉구하는 사회각계의 다양한 주문이 점점 더 거세지고 있다. 기업에게는 그 규모나 업종을 떠나 사회체제의 구성원으로서 어떤 형태나 내용이든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 할 책무가 분명히 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논의할 때, 영세상인이나 소규모기업보다는 규모가 큰 기업과 주로 연관시키는 경향이 짙다.
사실상 규모가 크고, 소비대중과 밀접한 제품 및 서비스를 대량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공공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바가 큰 기업일수록 상대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성실하게 이행하고 있는데도, 여전히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는 요구를 많이 받고 있다. 이는 그런 기업일수록 사회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선량한 기업에게 바라는 일반대중의 기대 역시 대단히 크기 때문이다.
1.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은 자주성과 공공성 실현에 있다. 모든 기업들이 자주성 내지 자율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이익추구가 공익과 상반되지 않기 때문이며, 공·사익 일치의 원칙을 만족시키는 한도 내에서 사기업의 자유는 용납되며 이 자유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기업의 자주성의 실현은 사회적 책임을 스스로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의 소산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 근거를 두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자유와 균형, 부패가 없는 공정거래 질서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거대기업이 출현함에 따라 완전경쟁기구와 공·사익의 자연적 일치의 원리도 파괴되었으며, 거대기업화는 경제적·정치적 및 사회적으로 막강한 권력을 보유하고, 인간생활의전 영역에 그 영향을 미쳤으므로, 그 권력의 남용을 저지할 이유에서 공·사익 일치의 요구를 인위적으로 통제할 필요가 생겼다. 이와 같은 인위적 일치의 필요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불러 일으켰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은 기업들 자체의 사회공헌 활동의 노력에 있다. 기업의 자유보존의 조건은 사회적 책임을 스스로 부담하는 일이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바로 사기업 자체의 사회공헌 활동의 공적에 있다. 따라서 사회적 책임은 기업자체의 윤리적 의지와 실천 그리고 사회공헌의 노력이 실행된다면 가능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 내지 필요성은 권력-책임-균형의 법칙에 있다. 이 법칙은 사회적 권력은 사회적 책임이 따르는 것, 사회적 책임을 회피하면 사회적 권리를 상실한다는 책임 철칙(the law of responsibility)으로 요약된다. 따라서 기업이 사기업의 ...
참고 자료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176336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361379
https://blog.naver.com/hyojinkim101/222316915445
이용대, 이치송,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재무 건전성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1.09.
김정욱, 『사회적 가치의 범주화와 계량화 방안』, 2021.06.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792
황상규, 『[칼럼] 사회적 가치 경영시스템과 CEO의 역할』, 이투뉴스,
2018.04.09.08:01.
https://www.mk.co.kr/economy/view/2019/52689
김경민, 『SK 사회적 가치 경영과 기업 성과 | SK하이닉스 사회적 가치 7조원 창출』, 매일경제, 2019.01.25.10:16:57.
https://www.socialvalue.re.kr/column/info?id=799
이원삼, 『[현장ESG] ESG와 중소기업의 현실』, Social Value Hub, 2021.09.14.
https://www.costco.com/sustainability-employees.html#compensation-benefits
코스트코 홈페이지, Sustainability Introduction , Employees
[진단]'공짜야근' 유도하는 '포괄적임금제'는 크래프톤 김창한 대표의 경영철학
-2021.10.27., LIBERTY KOREA POST-
NH농협생명, 도심 공원 식목활동으로 ESG경영 실천
-2021.11.03., NEW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