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글쓰기의 요건
1.1. 좋은 글쓰기의 요건 요약
좋은 글쓰기의 요건은 크게 글의 목적과 독자, 내용의 충실함과 정확성, 글의 표현, 글의 짜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글의 목적과 독자를 고려해야 한다. 글은 동기나 목적에 따라 양식과 문체가 달라지며, 과정도 달리해야 한다. 따라서 글을 쓰기 전에 자신이 글을 쓰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독자에 따라 어휘와 문체, 내용 수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좋은 글은 독자가 끝까지 읽을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글이어야 한다.
다음으로 내용의 충실함과 정확성이 중요하다. 사실에 토대를 둔 충실한 글은 이해의 폭을 넓혀 주고 깨달음을 주며 신뢰감을 준다. 정확한 내용과 적절한 근거를 기반으로 한 글은 자신의 글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책임이다.
글의 표현 또한 중요하다. 문맥과 단어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해야 하며, 문장의 길이는 짧고 명료한 것이 기본적이다. 다만 설명을 위해 길어진 문장이라도 제대로 해석되는 문장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글의 짜임새가 필요하다. 문장과 단락, 글 전체가 통일성을 유지하며 논리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의도에 맞춰 적절한 구성법을 적용하고, 일관된 흐름을 유지하며 충분한 정보와 구체적 논거, 적확한 해석을 전달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좋은 글쓰기를 위해서는 글의 목적과 독자, 내용의 충실함과 정확성, 표현, 그리고 짜임새 등 다양한 요건들이 필요하다.
1.2. 글의 목적과 독자
글의 목적과 독자는 중요한 요건이라 할 수 있다. 글은 동기나 목적에 따라 양식과 문체가 달라지며, 과정도 달리하기에 글을 쓰기 전에 자신이 글을 쓰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사실을 설명하려 하는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 하는지 등의 글의 목적이 방향을 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독자에 따라 어휘와 문체, 내용 수준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독자의 연령대와 교육 수준, 독서 능력, 독자의 관심사와 목적, 문화적 배경과 이념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좋은 글은 독자가 끝까지 읽을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글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1.3. 내용의 충실함과 정확성
내용의 충실함과 정확성이 좋은 글쓰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건이다. 실용적 글쓰기라면, 제시하는 통계와 수치 등의 자료가 빠짐없이 정확하게 해석했는지가 중요하며, 확립된 권위에 기대어야 하는 글이라면, 인용한 글의 근거를 밝힘으로 글의 신뢰성과 윤리성을 확보하고 독자 스스로 논의를 확대하고 심화시켜 검토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사실에 토대를 둔 충실한 글은 이해의 폭을 넓혀 주고 깨달음을 주며 신뢰감을 준다. 정확한 내용과 적절한 근거를 기반으로 한 글은 자신의 글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책임이다.
1.4. 글의 표현
글의 표현은 문맥과 단어에 대한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단어를 선택할 때는 문맥에 적절한 단어를 사용해야 하며, 어려운 단어나 영어, 한자 등을 사용할 경우 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또한 문장에서 반복되거나 무의미한 표현은 삭제하고 상투적인 표현을 피해야 한다.
문장의 길이와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짧고 명료한 문장이 바람직하나, 설명을 위해 문장이 길어지더라도 제대로 해석될 수 있는 문장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창조적 글쓰기와 같은 경우 의도적인 모호함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글의 표현은 문맥과 단어 선택, 문장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의미 전달이 명확하고 효과적이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1.5. 글의 짜임
글의 짜임은 문장과 단락, 글의 전체적인 구조가 통일성을 유지하며 논리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좋은 글은 의도에 맞춰 서사(敍事), 나열(羅列), 인과(因果) 등의 적절한 구성법을 적용하여 일관된 흐름을 유지하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체적 논거를 제시하며 적확한 해석을 전달해야 한다.
문장과 단락은 통일성과 연결성을 지녀야 하며, 글 전체의 구조 또한 논리적이고 긴밀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글의 각 부분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독자가 전체의 맥락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명확한 주제와 일관된 흐름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구성법의 선택이 필요하다. 글의 목적이나 성격에 따라 서사적, 설명적, 논증적 구성법 등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서사적 구성법은 사건의 전개에 따라 글을 구성하는 방식이고, 설명적 구성법은 특정 대상이나 개념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다. 논증적 구성법은 주장을 펼치고 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글의 짜임새 있는 구성은 독자의 이해와 흥미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글의 각 부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일성 있게 구성되면 독자는 보다 쉽게 주제와 논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2. 단어 쌍의 차이 설명
2.1. '으로서'와 '으로써'
'으로서'와 '으로써'는 두 단어의 차이가 명확하지만 가끔 혼동되어 사용되곤 한다. '으로서'는 신분이나 지위, 자격을 나타내며, '으로써'는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낸다.
'으로서'는 어떤 신분이나 직책, 자격 등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 프로젝트의 총괄 기획자로서 최고의 성과를 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라고 할 때, 여기서 '총괄 기획자로서'는 화자의 신분과 지위를 나타낸다. 또한 "내포된 의미 없이 예쁘기만 한 이런 로고는 디자이너로서 용납할 수 없다."와 같이, '디자이너로서'는 화자의 자격을 나타낸다.
반면 '으로써'는 어떤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사이트를 정확히 함으로써 제안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에서 '함으로써'는 인사이트라는 수단을 통해 제안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