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급성장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급성 장염의 정의와 특징
1.1. 정의
1.2. 원인 및 병태생리
1.3. 임상증상
1.4. 진단검사
2. 급성 장염 환자의 간호
2.1. 수분 및 전해질 상태 관리
2.2. 식이 관리
2.3. 피부 간호
2.4. 격리와 위생 관리
2.5. 정서적 지지
3. 급성 장염의 치료
3.1. 수액 및 전해질 보충
3.2. 약물 치료
3.3. 기타 치료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급성 장염의 정의와 특징
1.1. 정의
급성 장염은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 물질이 들어있는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이다. 급성장염은 다양한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에 의해 유발되며 영아나 어린아동은 설사로 인해 탈수와 영양실조에 빠질 위험이 있다. 유행성 설사에 대하여 (가성 콜레라, 바이러스성 설사) 매년 늦가을과 겨울철에 유행성 설사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데 입원 환아의 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유행하는 경우도 있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급성 장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급성 장염은 다양한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대부분의 설사를 일으키는 병원체는 분변을 통해 경구로 전파되며, 일부는 직접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된다. 바이러스성 감염은 주로 겨울철에 발생하고, 세균성 감염은 여름과 가을에 더 많이 발생한다. 신생아의 경우 대장균(E.Coli)이, 13-24개월 유아의 경우 이질균(Shigella)이 주요 병원체이다. 5세 이하 아동에서는 로타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이 외에도 살모넬라균(Salmonella), 변형균(Proteus), 녹농균(Pseudomonas), 비브리오 콜레라균(Vibrio Cholerae), 보툴리누스균(Clostridium Botulinus) 등도 감염성 위장관염을 유발한다.
급성 장염의 주된 병태생리는 장독소의 생성, 장 상피세포의 직접적인 침범과 파괴, 그리고 병원체에 의한 국소적인 염증반응이다. 이로 인해 수분과 전해질의 분비가 자극되고 심각한 생리적 장애가 발생한다. 특히 수분과 전해질의 심각한 소실은 탈수와 대사성 산증, 쇼크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급성 장염 환자에게서는 설사, 구토,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까지 초래될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경우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1.3. 임상증상
급성 장염의 임상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며, 원인 물질에 따라 잠복기와 증상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섭취 후 72시간 이내에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은 1-3일의 잠복기를 거쳐 감기 증상이 있다가, 1-2일 토하면서 갑자기 물처럼 설사를 하게 된다"". 열이 동반될 수 있으며, 물 설사를 하기 때문에 쉽게 탈수 증상이 동반되며, 녹색, 황색, 또는 쌀뜬물 같은 물 설사로 평균 하루에 7-10회 한다"". 대부분의 경우 1주일 이내에 회복된다"".
장운동 항진으로 인해 상복부와 배꼽 주위에서 시작되어 오른쪽 하복부의 급성통증(McBurney's point)을 호소하는 복통이 나타나며, 지속적이고 반사통을 동반하기도 한다"". 통증으로 인해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를 취하거나 다리를 끌어올리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구토와 식욕 소실, 발열도 함께 나타난다"". 심한 탈수 증상으로 함몰된 천문, 들어간 눈, 피부 탄력성 상실, 소변량 감소, 눈물이 없고 무기력하며 과민한 상태, 입술과 혀가 마르는 등의 양상을 보인다"".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해 염분 소실로 인한 체액 부족, 칼륨 소실로 인한 근허약, 복부팽만, 심전도 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4. 진단검사
감염성 설사는 흔히 구토와 복부 불편감등을 나타낸다. 세균성 감염과 바이...
참고 자료
김영혜 외(2010),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최영희 외(1998),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박충선 외, 『건강회복을 위한 아동건강 간호학 2』, 퍼시픽북스 (2017), p436-439
박은숙 외, 『근거기반 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 현문사 (2016), p117-120
방경숙 외,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2014), P363-365
강남아산병원, “소아 장염”
https://www.gnah.co.kr/health/healthinfo/diseaseindex_view.jsp?no=61&pageNo=11&search_keyword=
2019. 9. 05.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소아 장염”
http://guro.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359&cPage=2&DP_CODE=GRPD&MENU_ID=004005
2019. 9. 05.
서울아산병원, “소아과 장염”
http://child.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10
2019. 9. 05.
KIMS 의학정보센터, “KIMS”
http://www.kimsonline.co.kr/
2019. 9. 07.
드럭인포,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2019. 9. 09.
심정옥, 소아 급성설사의 원인과 감별법, 2012.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소아청소년과 소화기영양분과
안승희 임현철 김황민 어영 석원석, 급성위장관염 소아에서 원인체의 분석과 임상증상의 중증도에 대한 연구, 2008. 연세대학교 소아과학교실, 진단검사의학교실, 강원보건환경연구원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영 오현진 부선주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30~34, 59~62, 210~213p
Marilyn J.Hockenberry, David Wilson 공저, 김영혜 외 공역,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2015년 8월 9판 395~340p
Marilyn J.Hockenberry 외 2인 공저, 김영혜 외 공역, 「아동간호학(각론)」 『현문사』 2018년 2월 10판 137, 205, 284~300, 314, 315, 524p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조현숙 강정희 이정인 김영주 박진희 신미경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324~326, 356~36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