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아당뇨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소아당뇨병 개요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3. 제1형 당뇨병 간호과정
3.1.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3.2. 분비되지 않는 인슐린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3.3. 고혈당으로 인한 산-염기 불균형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성
3.4. 인슐린 결핍, 식이제한과 관련된 영양부족
3.5. 제1형 당뇨병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4. 제2형 당뇨병 간호과정
4.1. 고혈당과 관련된 신체손상위험성
4.2. 고혈당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5. 당뇨병 관리
5.1. 약물요법
5.2. 식이요법
5.3. 운동요법
5.4. 합병증 예방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당뇨병은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전 세계 당뇨병 환자는 4억 6천3백만 명 이상이다. 국내 당뇨병 환자는 성인 7명 중 1명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생활양식, 활동량의 감소, 스트레스 및 평균 수명의 연장 등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당뇨병은 완치가 불가능한 질병으로 이에 따른 합병증도 존재하기 때문에 질병의 완치가 아닌 조절 또는 유지에 초점을 두어야한다. 이를 위해, 환자와 의료진이 당뇨병의 치료 및 중재에 대하여 정확히 숙지함으로써 당뇨 환자로 하여금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1.2. 문헌고찰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은 초기에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제2형 당뇨병은 서구화된 식생활, 운동 부족, 비만 등 환경적인 요인과 특정 유전자의 결함, 췌장 수술, 감염, 약물 복용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은 대개 다뇨, 다음, 다식, 체중감소, 피로감, 전신 소양감 등의 증상을 보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공복 혈당검사, 식후 2시간 혈당검사, 당화혈색소 검사, 당부하 검사 등이 이용된다"". 제2형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경구용 혈당강하제 및 인슐린 주사제 등의 약물요법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2. 소아당뇨병 개요
2.1. 정의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 또는 작용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제1형 당뇨병은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인슐린 작용이 약화되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2.2. 원인
제2형 당뇨병의 원인은 다양한데, 대표적으로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을 들 수 있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인슐린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포도당이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혈액 내 포도당이 과다 축적되어 고혈당이 나타나게 된다.
인슐린 저항성의 주요 원인으로는 비만, 노화, 유전적 요인, 생활습관 등이 있다.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은 지방세포에서 유래되는 염증성 물질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한다. 또한 나이가 들수록 근육량이 감소하고 지방량이 늘어나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게 된다. 유전적 요인도 인슐린 저항성 발생에 기여하는데, 특정 유전자의 변이나 결함이 있는 경우 인슐린 신호 전달 체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운동 부족, 서구화된 식습관, 스트레스 등의 생활습관 요인도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규칙적인 운동은 근육량 증가와 지방 감소를 통해 인슐린 감수성을 높이지만, 운동 부족은 이러한 효과를 제한한다. 또한 지방과 단백질 위주의 고칼로리 식단, 과다한 알코올 섭취 등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요인들이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고혈당을 초래한다고 볼 수 있다.
2.3. 증상
소아당뇨병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소아당뇨병 환자들은 대부분 다음, 다갈, 다뇨 증상을 경험한다. 다음은 당뇨병의 대표적인 3대 증상으로, 체내에 포도당이 쌓여 있어 세포에 전달되지 못하여 생기는 증상이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계속해서 목이 마르고 물을 많이 마시게 되며, 과도한 소변 배출이 나타난다.
이 외에도 체중 감소, 피로감, 잦은 감염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당뇨병이 지속되면서 체내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지 못하게 되어 체중이 감소하게 되고, 피로감과 권태감이 나타난다. 또한 고혈당으로 인해 세포와 조직의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염에 취약해지게 된다.
심각한 경우에는 두통,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케톤산증은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지방 분해가 과도하게 일어나 혈액 내 케톤 물질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이다.
따라서 소아당뇨병 환자들은 갈증, 다뇨, 체중 감소, 피로감 등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며, 심한 경우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인한 두통,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4. 진단
진단의 정의와 기준은 다음과 같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 또는 작용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제1형 당뇨병은 신체 내 면역 방어 체계가 잘못되어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세포가 손상되어 몸에서 필요한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거나 부족하여 고혈당이 발생하는 것이 특...
참고 자료
아동청소년건강간호학, 하영수 외, 신광출판사
삼성서울병원, 질환과 영양, 소아당뇨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CMS&CONT_SRC_ID=09a4727a80018c03&CONT_CLS_CD=001020002&CONT_ID=2736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 질환정보, 소아당뇨에 대해 알고싶어요.
http://child.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54
삼성당뇨소식지 Vol. 279, 당뇨와 감기
http://www.samsunghospital.com/webzine/smcdmedu/279/webzine_279_4.html
삼성서울병원 당뇨교육실, 고혈당 대처법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DM&MENU_ID=008038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과 식생활, 당뇨식은 건강식입니다
https://www.diabetes.or.kr/general/food/index.php
강화군 보건소, 건강정보게시판, 소아당뇨의 증상과 진단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clinic/bbs/bbsMsgDetail.do;jsessionid=773C62434529C558420950E508F5D346?msg_seq=74&bcd=health_data&pgno=7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2948
황옥남 외 8명 (2018),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원종순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성미혜 등. 간호과정(2023). 수문사. NANDA-I 간호진단
이상은, 이해정, 박가은, 이대은, 이민진 and 강아름. (202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영양섭취와 당뇨 합병증 위험도.
제갈윤석, 전용관, 이미경, 김은성, 강은석, 이현철, 박지혜, 이현지, 한승진 and 김소헌. (2008). 걷기량과 신체활동이 제2형 당뇨병환자들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김동은, 홍승희 and 김지명. (2015).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식사요법 실천 정도, 식이섭취 상태, 신체활동과 대사증후군 유병률과의 관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