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21세기는 탈산업화와 정보화 그리고 세계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전통적인 틀을 벗어난 가족생활의 양식과 다양한 직업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가구당 평균 자녀 감소 그리고 편부모 가족의 증가 현상을 초래했다. 이에 따라서 많은 영·유아들이 보육 대상이 되고 있고, 그 수요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보육사업은 사회가 육아 책임을 대신해서 보다 많은 영·유아들에게 보육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2. 보육의 유형 및 특성
2.1. 장소에 따른 보육
2.1.1. 가정보육
가정보육이란 가정이라는 장소에서 보육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가정보육은 자기 집 보육과 보육자 가정보육으로 구분된다.
자기 집 보육은 보육의 대상인 영·유아의 가정에서 부모를 대신하여 다른 사람이 보육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주로 베이비시터나 가사도우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영·유아가 익숙한 환경에서 보육을 받기 때문에 환경 변화로 인한 혼란과 불안이 적고, 부모가 직접 보육자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전문성이 부족할 수 있고, 보육자의 개인 사정에 따라 보육이 중단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보육자 가정보육은 영·유아를 돌보는 보육자의 가정에서 보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육자의 자녀와 다른 가정의 영·유아를 함께 돌보기도 한다. 보육 장소가 영·유아의 거주지와 가까워 적응이 쉽고, 보육자와 부모 간의 협의로 운영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보육자가 전문 자격증을 갖추지 않은 경우가 많아 체계적인 보육이 어렵고, 혼자 영·유아의 식사, 간식, 놀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보육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2.1.2. 시설보육
시설보육은 일정한 전문성과 체계를 갖추고 있는 상시 11인 이상의 영·유아를 보육하는 시설이다. 이러한 시설은 정부에서 정한 다양한 규정을 준수하여 기본적인 제반 시설을 보유하고 있고, 정해진 보육 운영시간을 준비하여 보육시간 변동이 야기할 수 있는 불편함과 혼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설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전문적인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영·유아의 발달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고, 교사로써 적절한 역할 수행을 훈련받아 전문성을 갖추었으며, 지속적으로 실시되는 보수교육으로 교사의 질이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한 명의 교사가 다수의 영·유아의 돌보아야 하므로 개별 영·유아들에게 각각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어렵고, 법에서 정한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