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산업혁명과 대학생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4차 산업혁명과 인재상 및 인적자원개발
1.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
1.2.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상
1.2.1. 인성
1.2.2. 감성
1.2.3. 창의성
1.2.4. 자율성
1.3. 정부 측면의 인적자원개발 방안
1.4. 학교 측면의 인적자원개발 방안
1.5. 사회·산업계 측면의 인적자원개발 방안
2. 4차 산업혁명과 진로 대비
2.1.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직업 변화
2.2. 직업 변화에 따른 진로 대비
2.2.1. 예술 관련 직종(시각디자인)
2.2.2. IT 기술 및 코딩 관련 직종
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3.1.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비교
3.1.1. 학교교육
3.1.2. 평생교육
3.1.3.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차이
3.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방식
3.2.1. 개인 맞춤형 학습
3.2.2. 협력학습
3.2.3. 혼합학습
3.2.4. 크로스오버러닝
3.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평생교육 관점
3.3.1. 창의력의 배양
3.3.2. 비판적 사고능력의 배양
3.3.3. 적응력과 유연성의 배양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4차 산업혁명과 인재상 및 인적자원개발
1.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공유경제"와 같은 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산업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상생활 속에서도 "자동화, 무인화, 지능화"와 같은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어 사람들의 일자리를 기계가 대체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의사의 손을 대신한 로봇 복강경 수술이나 배달앱을 통한 음식 주문, 스마트폰으로 택시를 불러 탑승하는 등 최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의 실생활이 편리해지고 있다. 이처럼 기술 발전은 일자리 생성과 소멸, 지식과 숙련의 생존 주기 단축 등 인적자원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2.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상
1.2.1. 인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성은 매우 중요한 인재상 중 하나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인공지능이나 사물인터넷과 같은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사람들의 일상생활이 편리해지고 있지만, 동시에 인간의 일자리가 기계에 의해 대체되는 위협적인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품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인간의 사고방식과 태도가 중요하다.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일하면서 생겨나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은 결국 인간의 몫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의 인성, 즉 책임감, 윤리성, 사회성 등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수적인 인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전 세계가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사회가 되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 등이 중요한 인성 요소로 요구된다.
셋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새로운 가치 창출이 중요하다. 단순 반복 작업은 자동화되면서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틀을 벗어나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개방적이고 융통성 있는 사고방식, 도전 정신 등이 필요하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간 고유의 성품인 인성이 매우 중요한 인재상으로 부각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인성을 갖춘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1.2.2. 감성
디지털 시대의 최첨단 기술개발로 인하여 사람들의 욕구는 점점 다양하게 변화하고 세분화된 혁신적인 서비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섬세한 감수성은 사람들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풍부한 감성과 디테일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한 새로운 아이템이나 제품개발을 하는 데 차별화된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특히 사람의 감각과 정서적인 신념은 최첨단 기술의 발전으로는 침범할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에 앞으로 미래의 인적자원개발의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1.2.3. 창의성
셋째로는, 창의성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는 기술은 정보통신개발과 의료서비스 생명공학과 같은 모든 산업의 융합으로 일반적인 기업과 서비스 업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독창적인 창의성을 바탕으로 미래의 첨단기술과 다양한 분야의 융합으로 새로운 제품과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조하고 이에 따라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분야의 산업을 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4. 자율성
넷째로는, 자율성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으로는 기술개발의 진보 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신기술이 개발되고 기존 기술이 빠르게 대체되어 기술의 수명은 짧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필요와 욕구에 따라서 직업을 선택하고 자신을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바탕으로 자신이 선택한 영역에서 스스로 지식과 기술을 찾아 습득하고 성취할 수 있는 자율성이 중요한 인재상이라고 생각한다.""
1.3. 정부 측면의 인적자원개발 방안
정부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적자원개발은 "지역사회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과학기술의 발달은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거나 사람을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신 노동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경제적인 사회구조는 저출산과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어 중앙정부의 사회 제도나 노동시장의 정책이 앞으로 미래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 양성은 수도권이나 특정 지역으로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으며 지역의 특성에 따라 개인의 역량을 발휘할 기회를...
참고 자료
김형만 외 5명,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역인적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이만표 교수, 인적자원개발론, 서울디지털평생교육원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9640(아시아투데이)
방효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중등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18
최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Summer 2017, 2017
클라우스 슈밥,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상담학사전, “IT",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7474&cid=62841&categoryId=62841, 2019. 06. 16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코딩“, https://terms.naver.com/list.nhn?cid=42107&categoryId=42107, 2019. 06. 16
두산백과, “시각디자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85315&cid=40942&categoryId=33074, 2019. 06. 16
강유정, 신연희 외 2명 저, 평생교육론, 창지사, 2023
박수홍, 장재혁 외 8명 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시스템디자인, 협동조합꿈샘,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HR 패러다임의 전환, KB금융그룹, 2018
이선영 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017
김대식 저,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교육사상연구, 2017
한둥숭 저,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2016
강찬석, 강혜정 외 3명 저, 평생교육론, 학지사,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