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의 다문화 사회 경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현황
2.1. 문화다양성의 정의
2.2. 문화다양성 실태조사 결과
3. 지역별 문화다양성 현황 및 특징
3.1. 인천의 문화다양성 현황
3.2. 창원시의 다문화가족 현황
3.3. 청주시의 다문화가족 배경
4. 문화다양성 관련 정책 및 실천적 대안
4.1. 인천의 문화다양성 정책 현황 및 문제점
4.2. 창원시의 다문화가족 지원 방안
4.3. 청주시의 다문화가족 복지 차원의 개입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문화다양성은 인류 사회에 서로 다른 문화가 폭넓게 존재하는 현상 그 자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한 국가 및 지역사회 내에서 적용된다. 문화다양성은 성, 연령, 인종 및 종족, 장애, 지역, 종교, 사회 계층과 성애 등 다양한 사회 범주와 관련하여 포괄적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문화 간 차이가 전제가 되기 때문에 문화다양성은 인류 사회 전체에서 또는 한 사회 속에 발견되는 문화적 다양성이 당연하며 타당한 상태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개념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결국 문화다양성은 한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가 실재하고 있다는 현상을 지칭하며 이러한 현상의 나타나는 긍정적 가치의 인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화다양성은 한국 사회에서 더 중요해지고 있다. 현대 사회는 이주민 증가, 지역갈등, 고령화, 저출산, 청년실업, 국제결혼 증가, 소득 양극화 등 다양한 차원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영역에서도 사회 전반에서 다원화되고 있는 환경변화를 맞이하여 다양한 문화의 가치의 인정과 소통을 위한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세계 각국에서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을 포함하여 사회 내 소수집단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문화정책을 시행하고 있기도 하다.
2.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현황
2.1. 문화다양성의 정의
문화다양성이란 개인과 집단 간에 언어, 행동양식, 가치관, 믿음 등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한 국가나 사회 내에서 서로 다른 문화가 공존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문화다양성은 특정한 인종, 민족, 종교 등의 차이에 기반을 두는데, 이는 단일문화가 아닌 복수의 문화가 공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문화다양성은 개인과 집단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반영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이처럼 문화다양성은 사회 구성원 간의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2. 문화다양성 실태조사 결과
문화다양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6년 12월 기준으로 외국인주민이 171만 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약 3%를 차지하며, 다인종·다민족 사회로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주민 자녀는 11.5%를 차지하면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구는 약 55%가 수도권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만 30~39세가 약 32%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인천시의 경우 다문화가구 시도별 분포에서 6.1%로 서울, 경기 지역에 이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다문화이주민은 사회적 차별을 당한 경험이 높게 나타났으며, 고용, 시설이용, 교육, 성희롱 및 성차별 순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2017년 9월 기준 전체 북한이탈주민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 중 청년층인 20~30대가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의 지역별 거주현황에서는 인천시가 9.5%의 거주율을 보이고 있어 서울시와 경기도에 이어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근로자와 관련해서는 외국인근로자에게 거리감을 느끼는 정도에 대한 응답에서 거리감을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42%로 나타났으며,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차별 ...
참고 자료
권선영 외 1명, 「고양시 문화다양성 실태조사 연구」, 고양시정연구원, 2019.
김선기, 「혐오사회 극복과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문화다양성의 가치와 과제」, 전북연구원, 2018.
김면, 「문화다양성 정책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화광광연구원, 2017.
김정만, 「문화다양성실태조사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7.
박광무,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 기본계획 수립 기초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4.
강의내용
이성순 외(2017), 다문화사회복지론, 양서원
성정현 외(2020),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외공동체
창원시 홈페이지 www.changwon.go.kr/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관한 연구/박경동/전남대학교 대학원/2017
다문화 가정 유아가 구성하는 가족의 의미/김태훈/동국대학교/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