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과거부터 현재까지 한국 사회에선 지속적으로 중앙은행(한국은행)의 독립성이 정부의 의도와 방향으로 인해 저해되고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비록 중앙은행이 정부와 공조해 국가 내부의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선의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 때마다 한국의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은 지속적으로 훼손되어왔다. 때문에 이하의 본문에서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중앙은행의 독립성 보장이 금융시스템의 건전성 확보 측면에서 왜 필요한지, 그리고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어떤 수준이 적절한지를 기술해보도록 하겠다.
2. 중앙은행의 독립성
2.1. 중앙은행의 독립성의 개념
중앙은행의 독립성의 개념이란 중앙은행이 정치적 권위(정부)로부터 독립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정부로부터 중앙은행이 정치적 간섭을 받지 않고 은행 나름대로의 정책적 소신을 내놓을 수 있는 상태를 뜻한다. 반대로 정부에 종속적인 중앙은행은 행정부의 정책 의지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그대로 반영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중앙은행의 독립성에는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 두 가지가 있다. 좁은 의미로의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중앙정부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의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중앙정부 뿐 아니라 다른 많은 경제주체들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2.2.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필요한 이유
2.2.1. 정부의 통제력 차단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는 정부의 통제력을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을 통해 국가 경제 전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므로, 정부가 중앙은행을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맞게 통제하려 할 경우 이는 국민 경제의 안정을 해칠 수 있다. 정부는 일반적으로 단기적인 경기 부양이나 국민들의 인기에 영합하는 정책을 선호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은행이 정부의 개입으로부터 독립되어 물가 안정을 최우선의 목표로 삼을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장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중앙은행이 정부의 단기적인 정치적 고려에 휘둘리지 않고 경제의 장기적인 건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2.2.2. 경제 안정성 확보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경제 안정성 확보에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국민들의 저항이 적고 인기 있는 중앙은행 차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경기가 침체되거나 지나치게 호황일 경우, 정부는 국민들의 여론을 긍정적으로 돌리기 위해 중앙은행에 압력을 행사하여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확대 통화정책을 시행하려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물가 상승, 가계부채 증가 등 서민 경제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반면, 중앙은행이 독립적이라면 정부의 압박에 흔들리지 않고 경제 안정을 위한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