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청소년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국민의 일원으로 청소년이 현재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건전한 미래세대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국가와 정부의 목표과제이다.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절한 법령과 시책을 통해 청소년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는 것 또한 청소년육성정책의 기본방침이다. 한국의 청소년 정책은 역사적 흐름을 겪어 오면서 지속적으로 변동되고 있다. 한국전쟁 직후에는 청소년의 단속, 선도, 교정, 보호를 목적으로 규제가 만들어졌으나 1987년 「청소년육성법」이 제정되면서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처럼 청소년정책의 형성과 변동을 이해할 때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인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과 사회구조적 맥락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2. 역사적 제도주의
2.1. 신제도주의의 개념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란 정치, 경제, 사회현상을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적 흐름이다. 구제도주의가 개인 행위자들의 합의를 중심으로 제도를 설명했다면, 신제도주의는 사회적 맥락에서 개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적, 비공식적 제도의 영향력에 주목한다. 즉, 신제도주의는 제도가 개인의 행위를 형성하고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본다.
신제도주의에는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 역사적 제도주의, 사회학적 제도주의 등의 분파가 있다. 이들은 제도의 개념, 제도의 생성과 변화, 제도의 지속성 등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특히 역사적 제도주의는 역사와 맥락을 핵심개념으로 삼으며, 맥락에 대한 이해 없이는 사회현상과 정책을 설명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이처럼 신제도주의는 제도를 개인 행위의 맥락으로 간주하여 정책 및 사회현상을 이해하려 한다는 점에서 구제도주의와 구별된다.
2.2. 역사적 제도주의의 개념
역사적 제도주의는 '역사'와 '맥락'이 핵심개념이며, 맥락에 대한 적절한 이해 없이는 사회현상과 정책을 설명하기가 불가능하고 이 맥락을 형성하는 것이 역사라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역사적 제도주의의 출발점은 제도인데, 제도의 개념은 매우 포괄적이며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어 표준화된 정의를 발견하기는 어렵다.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제도'란, 장기간에 걸친 인간 행위의 정형화된 패턴을 뜻하며 개인과 집단의 행동이나 상태를 형성하고 제약을 가할 수 있는 규범, 가치, 규칙, 관행의 총체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역사적 제도주의의 특징으로는 첫 번째, 제도의 형태와 모습에 초점을 맞춰 사회현상을 설명하고 두 번째, 제도를 역사적 산물(産物)로 파악 한다는 점이다. 역사적 산물로 간주하는 이유로는 특정 시점에 형성된 제도가 상당 기간 동안 계속되어 이후의 사회현상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