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담낭암 당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담낭암 개요
1.1. 정의
1.2. 발병 위치
2. 발병 원인
2.1. 담석과 만성 염증
2.2. 담낭 용종
2.3. 췌담관 합류 이상
2.4. 기타 위험 요인
3. 증상
3.1. 초기 증상
3.2. 진행된 증상
4. 진단
4.1. 영상 진단
4.2. 종양 표지자
5. 치료
5.1. 수술적 치료
5.2. 항암 화학 요법
5.3. 방사선 치료
6. 경과 및 합병증
6.1. 예후
6.2. 수술 합병증
7. 예방
7.1. 위험 요인 관리
7.2. 정기 검진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담낭암 개요
1.1. 정의
담낭암은 담낭(쓸개)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종으로, 대부분 선암종 형태를 띤다."
담낭은 간관을 통해 들어온 담즙을 농축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다시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담낭암이란 이러한 담낭 세포에서 생긴 악성 종양을 의미한다.
선암종은 샘세포 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을 일컫는 용어로, 담낭암의 약 80%를 차지한다. 그 외에도 미분화암, 편평상피세포암, 선극세포종 등 다양한 유형의 담낭암이 발생할 수 있다.
1.2. 발병 위치
담낭암은 담낭에서 생기는 암종으로, 주로 담낭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담낭은 간에서 나온 담즙을 담낭관이라는 관을 통해 받아들여 농축한 뒤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길이는 약 7~10cm 정도로 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담도와 연결되어 있다".
2. 발병 원인
2.1. 담석과 만성 염증
담낭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담석과 만성 염증이다. 담석으로 인한 만성 염증 시 이형성-암 연쇄과정이 일어나 담낭암으로 발전한다"". 65-90%의 담낭암 환자에서 담석을 동반하고 있으며, 담석이 있으면 담낭암이 발생할 위험성이 7배 정도 높다"". 또한 담석의 크기가 클수록 위험성도 증가하여, 담석의 크기가 2.0-2.9cm인 경우 담낭암이 발생할 위험성은 2.4배 높지만, 3cm 이상인 경우 그 위험도가 10배로 증가한다"".
2.2. 담낭 용종
담낭 용종은 초음파 기계의 발달로 발견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질환으로, 담낭 벽에 생기는 돌기 모양의 병변을 말한다. 담낭 용종이 모두 담낭암이라고 생각할 필요는 없지만, 일부에서 암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크기가 5-10mm이고 담석이 없으며 증상이 없는 용종은 암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드물므로, 3-6개월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를 통한 관찰만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크기가 10mm 이상인 경우에는 이미 담낭암이 발생했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담낭 절제술을 받는 것이 좋다.
담낭 용종과 담낭암의 관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담낭 용종 중 약 5-10%가 악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다수의 담낭 용종은 양성이지만 일부는 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담낭 용종이 발견되면 크기, 모양, 증상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기적인 관찰이나 수술적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50세 이상의 환자이거나, 용종의 크기가 1cm 이상인 경우, 무경성 단일 용종인 경우, 담석이 동반된 경우에는 담낭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이러한 위험 인자들이 있는 경우 담낭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담낭 용종의 약 15-20% 정도가 악성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과거 연구 결과에 비해 악성화 비율이 다소 높아진 것으로, 이는 검진 기술의 발달로 초...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하) (제11판), 김선화 외, 현문사, 2021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담낭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62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담낭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75&cid=60406&categoryId=60406#TABLE_OF_CONTENT11
성인간호학(하) (제11판), 김선화 외, 현문사, 2021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송경애 외, 수문사, 2022
아산병원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62
삼성서울병원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61cda&CONT_SRC=CMS&CONT_ID=5936&CONT_CLS_CD=001020001011
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75&cid=60406&categoryId=60406
약학정보원https://www.health.kr/main.asp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전시자외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전시자외
건강사정 이강이 외 현문사
CIBA collection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기본간호학 Ⅰ,Ⅱ 강현숙 외 수문사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임난영 외 수문사
인체해부학-2판- 정담미디어
PCN -도서출반 정담-소화기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