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부림프절염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급성 경부 림프절염
1.1. 정의
1.2. 병태생리
1.3. 원인
1.4. 증상
1.5. 진단
1.5.1. 병력 청취
1.5.2. 신체검사
1.5.3. 혈액검사
1.5.4. 영상검사
1.6. 치료
1.6.1. 항생제 치료
1.6.2. 배농 및 절개 치료
1.7. 간호
1.7.1. 일반적 간호
1.7.2. 퇴원 후 간호
1.8. 합병증 및 예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급성 경부 림프절염
1.1. 정의
경부 림프절염은 경부(목) 부위에 위치한 림프절이 감염이나 염증, 또는 기타 악성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비대해지는 질환이다. 경부 림프절계는 두경부, 인후부, 구강 등 목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장기로부터 순환하는 림프계의 집결지이다.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 만져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 어떤 감염이나 기타 악성 종양 등에 의해 면역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림프절이 비대해진다. 이렇게 경부에 있는 림프선이 면역 현상에 의해 비대해지는 경우를 경부 림프절염이라고 한다.
1.2. 병태생리
경부 림프절염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도 감염이나 급성 인두염의 합병증으로 경부 임파선염이 심할 수 있는데 대개 이때는 한쪽에만 잘 생기고 임파선이 많이 붓고, 주위 피부가 벌겋게 변하고 또 열 같은 전신증상이 있다. 대개 세균에 의한 화농성 임파선염일 가능성이 높아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고, 농성으로 변하면 절개해서 고름을 빼내어야 하며, 성인 결핵 환자와 접촉의 병력이 있고 흉부 방사선사진에 이상이 있고 결핵반응검사에 양성이면서 경부에 임파선이 만져질 때는 결핵성을 의심해 봐야 한다. 볼거리가 있을 경우에 경부임파선과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대개 부어있는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계속되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열이 나거나 체중 감소, 밤에 식은땀, 덩어리가 아주 단단해진다던가, 임파선끼리 유착이나 주위 피부와의 유착, 쇄골 상부 임파선 종창, 종격 등의 임파선 종창, 2주 이상 점점 커지는 경우에는 다른 전신성 감염성 질환이나 종양이 의심되므로 조직 검사 및 다른 검사가 필요하다.
1.3. 원인
경부 림프절염의 주된 원인은 구강을 비롯한 상부호흡기계의 감염증이다. 특히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과 같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대표적이다. 혈액암, 림프종, 유육종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이 면역기능에 장애가 생긴 경우에도 경부 림프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악성 림프종, 갑상선암, 위/폐암으로부터의 전이암 등 악성종양도 경부 림프절 비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결핵,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기쿠치병)을 통해 경부 림프절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어린이들의 경우 홍역, 풍진, 볼거리 등 바이러스 감염증에 동반되어 경부 림프절 종대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1.4. 증상
경부 림프절염의 증상은 다양하다. 목이 뻐근하고 통증이 있는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 열이 오르고 식은땀이 나면서 피로감, 체중감소 등 전신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아무런 증상이 없이 그저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는 경우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의료정보-질환백과-‘경부 림프절염’
MSD메뉴얼-피부질환-‘림프절염‘
그린피오>질병정보>질병백과-’림프절염과 림프선염‘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의약품상세정보
약학정보원 홈페이지-의약품 상세검색
아동청소년 간호학Ⅰ (2019) / 김희순 외 저 /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림프절염 [lymphadenit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2013) / 차영남 외 저 / 현문사
김효신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안효섭,신희영(2019), 홍창의 소아과학 제 12판, 서울(주)미래엔.
김정애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박승준 외(2020), 보건인을 위한 핵심 약리학, 도서출판 의학교육.
박금주 외(2020), 비파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측문화사.
이병주(2006), 경부 림프절염, J Clinical Otolaryngol, 17권 P.23~30.
왕수건(2007), 경부 종괴의 진단과 치료,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50권 P.613~625.
약학정보원 : www.health.kr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 (2023.09.24)
김효신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안효섭,신희영(2019), 홍창의 소아과학 제 12판, 서울(주)미래엔.
김정애 외(2018),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수문사.
박승준 외(2020), 보건인을 위한 핵심 약리학, 도서출판 의학교육.
박금주 외(2020), 비파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측문화사.
소아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적 고찰(2004). 박철한 외 6인.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