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조정과 협력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보건의료팀 역할 및 업무
2.1. 보건의료 관계 인력
2.1.1. 간호사
2.1.2. 의사
2.1.3. 약사
2.1.4. 물리치료사
2.1.5. 영양사
2.1.6. 임상병리사
2.1.7. 방사선사
2.1.8. 간호조무사
2.2. 보건의료팀 간 협력의 필요성
3. 보건의료팀 협력 사례
3.1. 문제상황 분석
3.2. 시나리오
4. 효율적인 의사소통 방안
4.1. 공식적 의사소통
4.2. 주장행동
5. 갈등관리
5.1. 개인 간 갈등의 해결방안
6. 업무조정 및 협력과정의 중요성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 환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가 아닌 다양한 전문인력이 필요하다. 좋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기술과 지식의 복잡성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분야의 전문직들이 팀을 이루어 일을 하다보면 역할 갈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팀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역할 갈등의 원인은 팀 내 소통의 부재, 능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이 경우 보건의료팀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보건의료팀은 서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건의료팀 내에서 직종 업무마다 생각이 달라 의견이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코로나 이후 최근 들어 의료 환경 안에서 팀 협력이 증가되고 있다. 보건진료소, 보건소, 보건지소와 같은 지역사회의료기관의 경우 팀 간의 협력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환자에게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건의료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보건의료팀의 다양한 직종들은 업무의 협력을 위해 의사소통 기술과 체계를 개발해야하고 협력적인 조직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고서를 통해 보건의료팀 내 협력 및 업무 조정에 대해 알아보고 보건의료팀 협력 사례를 통해 협력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2. 보건의료팀 역할 및 업무
2.1. 보건의료 관계 인력
2.1.1. 간호사
간호사는 의료법 제2조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환자의 간호 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간호판단 및 요양을 위한 간호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의사, 한의사, 치과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업무와 간호 요구자에 대한 상담·교육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의 기획과 수행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이 외에도 간호조무사가 수행하는 업무에 대한 지도 업무도 수행한다.""
지역사회 간호사는 일차의료제공자, 직접간호제공자, 교육자, 대변자와 옹호자, 상담자, 연구자, 관리자, 의뢰자, 알선자, 변화촉진자, 협력자, 정보수집자, 보존자, 조정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간호사는 환자의 요구에 대한 관찰, 자료수집, 진료 보조, 상담과 교육 등 폭넓은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2.1.2. 의사
의사는 청진기 등 간단한 의료기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진찰하며, 환자의 증상에 따라 다양한 검사와 진단을 통해 치료방법과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환자의 진단을 위해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 의료기사에게 임상검사와 X-ray 검사 등을 지시하고,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진단하고 치료법과 약물 등을 처방한다. 이 외에도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병원이나 진료소에 직접 나오지 못하는 환자를 위해 왕진을 한다. 즉, 의사는 환자 진찰, 검사와 진단, 치료 처방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환자의 건강 증진을 위해 노력한다고 볼 수 있다."
2.1.3. 약사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으로 지시된 약을 조제한다"" 약을 조제하는 과정에서 약물의 상호작용이나 부작용을 확인하여 안전한 투약이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또한 조제된 약에 대해 환자에게 복용방법, 부작용 및 보관 주의사항 등을 설명하여 약물 복용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약물치료에 대한 환자의 이해를 높이고 약물에 대한 올바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약사의 중요한 업무이다""
이처럼 약사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조제하고 투약과정에서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하며, 환자에게 약물 복용교육을 제공하여 약물치료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2.1.4. 물리치료사
물리치료사는 의사의 진단, 처방에 따라 환자의 신체기능 장애, 통증완화, 회복을 위한 물리적 방법을 적용하는 보건의료 관계 인력이다. 물리치료사는 환자의 증상과 기능 수준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그리고 운동, 열, 광선, 전기 등의 물리적 요법을 적용하여 관절운동 범위 증진, 근력강화, ...
참고 자료
국가법령정보센터, 의료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D%98%EB%A3%8C%EB%B2%95/%EC%A0%9C2%EC%A1%B0
워크넷, https://www.work.go.kr/jobMain.do
이재혁, 2022.06.,“지역사회 돌봄, 보건의료‧사회복지 전문가가 동시에 케어플랜 설계해야”,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85713067099,2023.3.11.
신미자 외, 2022, 간호관리학, 수문사, p.508~515
이미지, 이윤미, 신소영 and 조정현. (2022). 국내 보건의료 전문가의 협력적 실무 경험. 중환자간호학회지, 15(1), 47-57.
정면숙 외(2018). 간호학개론 (제3판). 현문사. p140-141. 270-271
장금성 외(2017).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제3판 수정판). p187-189
장금성 외(2020). 최신 간호관리학(제5판). 현문사. p482-500, 533-535
김종래,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장금성 외,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2009
유해영, 최신 간호관리학, 현문사, 2015
한금선 외,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고문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