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콘텐츠 산업의 생태계
1.1. 콘텐츠 생태계의 구성 요소
콘텐츠 생태계의 구성 요소는 콘텐츠(Contents), 플랫폼(Platform), 네트워크(Network), 디바이스(Device)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콘텐츠(Contents)는 언론이나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로, 뉴스, 음악,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형태의 창작물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ICT 기술과의 융합으로 콘텐츠 자체가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기술형 콘텐츠와 같이 새로운 유형의 콘텐츠가 등장하고 있다.
플랫폼(Platform)은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유통경로로, 컴퓨터 운영체제와 모바일 OS, SNS 등이 이에 해당한다. 최근 플랫폼은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공간으로 진화하며, 다양한 사회문화·경제 활동이 가능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네트워크(Network)는 콘텐츠와 플랫폼을 연결하는 통신 인프라를 의미한다. 전화망, 데이터통신망 등 개별 네트워크가 발전해왔지만, 최근에는 클라우드 기술 등을 활용한 통합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바이스(Device)는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기를 뜻하며,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IPTV 등이 대표적이다. 근래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발전하면서 사용자의 건강 관리까지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처럼 콘텐츠 생태계는 CPND의 네 가지 구성 요소가 상호작용하며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 요소 간의 균형 발전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2. 콘텐츠 생태계 구성 요소의 진화 현상
콘텐츠 생태계 구성 요소의 진화 현상은 기술의 발전과 타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콘텐츠(C)는 기술형 콘텐츠의 등장으로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사실감과 현실감, 몰입감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기술형 콘텐츠에는 시뮬레이션 콘텐츠, 미디어파사드 콘텐츠, 4D 콘텐츠, 실감 콘텐츠 등이 있으며, 이들은 기술 발전에 힘입어 사용자에게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플랫폼(P)은 기술형 플랫폼으로 진화하며 생태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단순한 유통 창구를 넘어서 개방형 시스템 기반의 오픈 API와 오픈 플랫폼 등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연계하는 통합 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다.
네트워크(N)는 클라우드 기술과 5G 등의 발전으로 데이터 저장과 전송의 혁신이 일어나고 있다. 단순한 전송 수단을 넘어 서비스 생성과 트래픽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디바이스(D)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으로 다양화되고 소형화, 경량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