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4.10.27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중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원의 문화권과 천하관
1.1. 다원적 천하관
1.2. 중원의 천하관
1.2.1. 중원의 문화권
1.3. 고려의 천하관
1.3.1. 고려의 문화권
1.4. 천하관과 문화권
1.4.1. 고려 천하관의 변형과 전파

2. 실크로드를 통한 중국의 음식문화 유입
2.1. 포도
2.2. 석류
2.3. 胡 자가 들어간 음식 재료
2.3.1. 마늘
2.3.2. 참깨

3. 충주와 한강
3.1. 탄금대
3.2. 중앙탑
3.3. 고구려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원의 문화권과 천하관
1.1. 다원적 천하관

세상에는 다양한 천하관이 생성되어 있다. 이는 천하관이 미치는 범위와 문화권의 범위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즉, 천하관과 문화권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천하관이 미치는 범위를 '천하권(天下圈)'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문화권의 범위와 비슷하며, 그들이 자신들의 천하관을 주장하고 강요할 수 있는 범위가 문화권의 범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상에는 천하관이 단 하나만 존재할 수 없고, 수많은 천하관이 생성되어야 한다. 그래서 기존의 일원론적 천하관을 부정한다. 다양한 천하관이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고려의 '海東天子' 천하관, 유목민족만의 고유한 천하관, 서양 종교의 교황의 천하관 등이 있다. 이러한 천하관들의 근거는 첫째, 그들만의 독자적인 칭호가 존재하고, 둘째, 천자들의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천자들은 자신이 천명 또는 천손임을 나타내며 유일무이한 존재임을 강조한다. 이처럼 다양한 천하관의 근거를 통해 볼 때, 세상에는 다양한 천하관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중원의 천하관
1.2.1. 중원의 문화권

중원의 문화권은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눈에 띄게 발전하였고, 이후 각각의 사상 및 기술들이 동아시아에 널리 퍼졌다. 이러한 중원의 문화는 동아시아 전체에 지배적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유가가 국가에 의해 관학화되어 유교가 된 이후로 중원을 포함한 삼국, 일본은 유교, 유가 사상의 범위에 은연중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중원의 문화권에 포함되어 천하관에도 중원의 문화가 작용되었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사회적 격변과 제자백가들의 등장으로 문화 및 제도 그리고 군사학등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주변 국들이 자극을 받아 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까지는 동아시아 문화권이라는 공통된 성질을 갖추지 못했다. 이후 한이 유교국가를 표방하면서 중원을 통일 한뒤 주변국에 왕 또는 후작의 작위를 수여하면서부터 하나의 문화권으로 묶이기 시작했다. 같은 문화권에 들어오면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쌍방향적인 영향을 주고받게된다. 한 무제가 유교를 관학화하면서 유교적인 황제권이 확보되고 화이사상이 구체화되면서 본격적으로 조공·책봉 체제의 방식으로 외교를 하기 시작했다.

이후 당이 국제적인 방향으로 문화적 방향을 조정하면서 당 문화가 동아시아 각지에 전파되고 보급되기 시작했다. 동아시아의 발해, 신라, 일본, 티벳, 몽골등이 당나라의 문화 및 제도를 받아들이고 변형시켜 수용하면서 문화권이 확대되고 명백해졌다. 즉, 중원의 문화는 천하관의 발전과 비슷한 방향으로 작용하였고 문화권이 확대됨에따라 그 문화권에 편입되었고 이와 동일하게 천하관에 편입되었다.

따라서 시기상으로 볼 때 殷-周-秦-漢-隋-唐으로 왕조가 변화함에 따라 문화권이 점점 중원을 비롯하여 한반도, 몽골, 일본 및 서역까지 미치게 되었으며 문화권이 확대함과 동시에 그들의 천하관에도 한반도, 몽골, 일본, 서역 등이 편입되었다.


1.3. 고려의 천하관
1.3.1. 고려의 문화권

고려의 문화권은 동아시아 전체에 분포했었고 특히 송과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했다. 고려는 송에게 선진문물 또는 사상적 문화를 수용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재조작 또는 재창조하여 일본에게 전파했다. 고려는 일본에게 다양한 문화를 전파했는데, 그 중 불교문화가 잘 나타나 있다. 대표적인 고려 불화 수월관음도가 일본에 소장되어 있었...


참고 자료

사료
高麗史
高麗史.樂止.風入松
단행본
김호동.『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 돌베개, 2010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2006.09.10.
시노하라 히로카타(篠原啓方). "고구려의 천(天) 그리고 천하관." 내일을 여는 역사. 2011
국내 학술 논문
정진아. "일본 고대국가의 蕃관념의 특수성 - 천하관의 특징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고대학 16.- (2007):
김호동 ( Kim Hodong ). "울루스인가 칸국인가 - 몽골제국의 카안과 칸 칭호의 분석을 중심으로 -." 中央아시아硏究 21.2 (2016):
盧明鎬(Ro Myoung-ho). "高麗時代의 多元的 天下觀과 海東天子." 한국사연구 105.- (1999):
김보광. "12세기 초 송의 책봉 제의와 고려의 대응." 동국사학 60.- (2016):
李熙眞(이희진). "고구려의 천하관과 중국관계에 대한 재해석." 新羅史學報 0.30 (2014):
전영준(Yong-joon Jeon). "11~12세기 전후 麗-宋 양국의 문화인식과 『高麗圖經』." 다문화콘텐츠 연구 2011
임태홍.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국가’ 인식 비교 —국가의 목적과 중국 및 천하관을 중심으로 東洋哲學硏究 98.- (2019):
기타 자료
허인욱. 한국중세사. 고려의 천하관. 2021 – 5주차 강의자료
일본에 전해 준 우리 문화(http://contents.nahf.or.kr/iskjViewer/item.do) 고려시 대의 교류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