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여성건강과 갱년기
1.1. 폐경과 여성갱년기의 정의
폐경과 여성갱년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폐경(menopause)은 지속되어 왔던 월경이 완전히 끝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40세 이상 여성에게 특별한 원인이 없이 1년 동안 월경이 없으면 폐경을 의심할 수 있고 특히 폐경 증상이 동반된다면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다. 그리고 폐경기는 폐경 이후 남은 생의 기간을 뜻하며, 이 기간 동안 여성의 난소에서는 여성호르몬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여성갱년기(climacteric)는 폐경 전·후를 의미하는 폐경주변기(perimenopause) 보다 광범위한 기간 즉, 폐경 전 수년과 폐경 후 약 1년을 의미한다. 또는 난소기능의 쇠퇴로 여성호르몬 분비가 급격히 감소되어, 생식기계 기능의 변화가 오는 시기부터 완전 폐경을 지나 다시 안정을 찾을 때까지 기간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갱년기보다 폐경 전 기간을 의미하는 폐경이행기(menopausal transition)란 용어를 사용하며 이 시기에는 난소의 기능이 점진적으로 소실된다. 일부 여성은 폐경이행기에 폐경 증상이 시작한다.
1.2. 갱년기 증후군
갱년기 증후군은 난소기능 감퇴와 이에 따른 내분비계 변화 및 정신사회적 변화에 의해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과 심리 정서적 증상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폐경기에 접어든 여성들은 여성호르몬의 현저한 감소로 인해 다양한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대표적인 신체적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발한, 불면증, 요실금, 성생활의 어려움, 월경주기 변화, 근골격계 변화 등이 있다. 또한 정신 심리적 증상으로는 감정의 기복, 우울, 불안,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여성호르몬 분비의 감소로 인한 내분비계 불균형과 심리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발생한다. 특히 폐경 전후로 급격한 호르몬 변화를 겪으면서 여성들은 정체성의 혼란과 상실감을 경험하게 된다.
갱년기 증후군은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증상의 정도와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부 여성들은 경미한 증상을 겪지만 일부는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만큼 심각한 증상을 겪기도 한다. 따라서 갱년기 여성들에게 적절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다.
1.3. 갱년기 증상의 원인과 유발요인
갱년기 증상의 원인과 유발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적인 난소의 퇴화이다. 여성이 나이가 들면서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 의해 난소가 퇴화하면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폐경이 발생한다"".
둘째, 외과적인 손상이다. 암이나 양성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자궁이나 난소를 절제하는 수술을 받은 많은 여성들의 경우 폐경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폐경에 이르게 된다"". 한쪽 또는 양쪽 난소를 남겨둔 상태로 자궁만 절제하는 수술을 받으면 월경혈은 더이상 생산되지 않지만 여성호르몬은 계속 분비되므로 폐경 이전의 상태와 동일하다"".
셋째, 항암치료이다. 암 치료를 위해 항암제 투여나 골반 부위 방사선 치료를 받게 되면 난소가 손상되어 폐경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자가면역질환, 볼거리와 같은 난소의 염증, 지나친 다이어트 등 영양부족, 흡연, 유전적 소인 등이 조기 폐경의 위험요인이 된다"".
1.4. 갱년기 증상의 신체적 변화
1.4.1. 배뇨 장애
폐경기에는 요도의 점막이 위축되어서 다양한 배뇨 증상이 발생한다. 주된 변화는 위축과 요실금이며, 폐경 후 3~4년에 걸쳐 천천히 일어난다. 위축성 변화는 외부생식기와 내부생식기 모두 나타나며, 특히 질상피가 얇아지고 건조해져 질의 윤활성, 탄력성과 긴장도가 저하되며 그 결과 질의 pH가 증가하며 젖산균 성장은 감소하고, 다른 박테리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되어 위축성 질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폐경기 여성에게서 배뇨 증상, 요실금, 반복적인 요로감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4.2. 성생활 변화
폐경기가 되면 질 위축과 분비물의 감소로 성교 곤란증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성적 흥분 시 질 팽창의 저하, 성교통, 골반 구조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