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기이식 윤리적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기이식의 개념과 역사
1.1. 장기이식의 정의
1.2. 장기이식의 종류
1.2.1. 자가이식
1.2.2. 동종이식
1.2.3. 이종이식
1.3. 장기이식의 역사
2.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2.1. 근본적 이식 장기의 부족
2.2. 공정배분
2.3. 비밀거래
2.4. 수술비용
2.5. 뇌사자로부터 장기적출
2.6. 장기이식 정보관리
3. 장기이식 문제의 해결방안
3.1. 공여 장기 부족 극복
3.1.1. 뇌사설 채택
3.1.2. 인공장기
3.2. 생착률 향상 시도
3.2.1. 이식장기의 생착률
3.2.2. 유전자 조작기법 활용
3.3. 윤리적, 재정적 측면 개선
3.3.1. 불법적 장기거래 금지
3.3.2. 장기의 공정배분
3.3.3. 장기이식 재단 및 기금 설치
3.3.4. 장기이식 정보관리 기구 설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기이식의 개념과 역사
1.1. 장기이식의 정의
장기이식은 "질병이나 사고로 기능이 떨어지거나 소실된 장기를 신체 내 장기나 타인에게서 받은 장기로 대체하는 시술"이다. 장기이식은 기존의 치료법으로 회복하기 힘든 각종 말기질환자의 장기를 뇌사자 및 생체에서 기증된 건강한 장기로 대체하는 수술을 말한다. 자기 자신의 조직 장기의 위치를 옮기는 경우를 자가이식, 타인의 것을 옮기는 경우는 동종이식, 종류를 달리하는 동물로부터 옮기는 것은 이종이식이라고 한다.
1.2. 장기이식의 종류
1.2.1. 자가이식
자가이식은 자신의 장기 또는 조직의 일부를 자기 자신의 다른 부위에 옮겨 심는 방법이다. 안면이나 두부에 생긴 피부 결손부에 대하여 피부를 이식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며, 이는 19세기 중반부터 행해져 왔다. 또한 골절 치료를 목적으로 자신의 뼈를 사용하는 것도 자가이식에 포함된다. 혈관, 힘줄, 신경 또는 모발 등의 이식도 종종 이루어지고 있다. 자가이식은 다른 사람의 것을 이용하지 않고 자기 자신의 장기나 조직을 사용하기 때문에 면역 거부반응의 문제가 없어 가장 성공률이 높은 이식 방법이다. 따라서 자가이식은 기증자 확보의 문제나 윤리적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자가이식은 오래전부터 시행되어 왔으며, 현대 의학에서도 중요한 치료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1.2.2. 동종이식
동종이식은 타인의 장기를 이식받는 경우를 말한다. 동종이식은 사람과 사람 간에 이루어지는 장기이식으로,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장기이식술이다. 동종이식에는 생체이식과 뇌사자이식이 있다.
생체이식은 살아있는 사람이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여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신장과 간은 생체기증이 가능하다. 생체기증의 경우 공여자의 동의가 필수적이며, 심리적, 신체적 평가를 통해 건강한 공여자를 선별한다. 생체기증은 공여자의 자발적 결정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공여자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공여자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지원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뇌사자이식은 뇌사자가 기증한 장기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뇌사자로부터의 장기기증은 타인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뇌사 판정 기준의 모호성, 장기매매 등의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뇌사 판정 기준을 구체화하고, 불법적인 장기거래를 금지하는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뇌사자 가족의 자발적인 장기기증을 높일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동종이식은 타인의 장기를 이식받는다는 점에서 공여자의 자율성, 공정한 장기 배분, 비밀거래 등의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 대기자 선정 기준의 공정성 확보, 불법적인 장기거래 금지, 장기이식 정보관리 기구 설치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장기이식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와 더불어 생명윤리의식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1.2.3. 이종이식
이종이식은 사람이 아닌 다른 종의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는 종간의 이식에 따른 강한 면역 반응을 해결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종이식의 경우, 병든 장기를 동물의 장기로 대체함으로써 여러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 하지만 동물과 인간은 서로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간의 면역 체계가 이종 장기를 거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종이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면역 거부 반응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유전자 조작 기법을 활용하여 이종 장기의 동종화를 시도하거나, 이종 동물 장기의 혈관내피세포에 대한 자연 항체의 불활성화 또는 보체 조절 단백질 조작 등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시도들은 완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종이식과 관련해서는 윤리적인 문제도 제기된다. 인간이 동물의 장기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환경보호론자나 동물애호가들은 동물의 도덕적 권리를 주장하며, 이종이식을 반대하고 있다. 반면 찬성론자들은 인간의 영양 섭취를 위해 동물을 죽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질병 치료를 위해 동물의 장기를 이용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결국 이종이식의 성패는 면역 ...
참고 자료
장기이식 정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89&cid=51007&categoryId=51007
장기이식 중요성과 절차
http://medicalreport.kr/news/view/47488
장기이식찬성
<뇌사와 심폐사 그리고 장기이식>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2, No. 8, 2009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뇌신경클리닉 남 상 욱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05620 (시사저널)
(보건복지부, 국립의료원과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2006)
사회복지 법인 호산나 복지재단 (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본 장기이식과 뇌사 (고려대 법무대 학원 강의록))
보건연구정보센터 <장기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및 영향요인> 손 영 희*·조 정 민*
통계청 www.kostat.go.kr/ 주요지표100선 장기이식정보시스템 (질병관리본부)
대한의학협회(1993) “대한의학협회 뇌사판정 기준”.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2013 .8월 이태관 (석사논문)
국립장기이식관리 센터 (1997-2000) 뇌사자 장기이식 보고서
장기이식의 현황 및 추세 Vol.3.No.1:1-6 June, 1994 손광헌
https://www.youtube.com/watch?v=DJyIMs_pLmg&feature=share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080134 (국민 70%, 뇌사 법적 인정 찬성)
[네이버 지식백과]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臟器等移植─關─法律] (두산백과)
정유리(2016).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뇌사·장기기증·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가톨릭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곽영진(2005). <유전공학시대의 생명의료윤리에 관한 연구 : 뇌사와 장기이식, 안락사, 인간복제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윤리교육 석사학위논문
최상회(2009). <장기이식과 자기결정권>. 충북대학교 법과대학 생명윤리 및 안전법제연구팀
송상용(2001). 생명공학의 도전과 윤리적 대응. <제14회 한국철학자대회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