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의 정의와 필요성
1.1.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의 정의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족은 기술혁신, 사회이념, 대중문화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구조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화하고 있다. 가족상담이란 가족기능의 회복 또는 강화를 목적으로 가족소통기술과 가족체계의 경계를 통해 대인관계의 질을 변화시키는 일련의 상담활동을 말한다. 정신과 의사와 임상심리학자에게 치료를 요구하는 정신병적 측면보다는 결혼적응, 결혼준비, 결혼관계 및 부모-자녀관계 등 가족의 기능, 역할 및 관계문제에 대한 전문적인 방법에 중점을 둔다. 가족상담은 가족치료를 위해 개인, 부부, 가족에게 심리치료와 가족체계 이론과 기술을 적용하는 전문 서비스를 말한다. 기존의 가족 관념으로는 다양한 가족의 출현을 설명할 수 없고 혼란만 가중되며, 가족 형태는 변했지만 법·제도·사회적으로 인식한다. 가족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과거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다양한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정은 소외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 온라인 가정의 등장으로 가족보다 더 가까운 가족이 생기고 가족 간 이별이 발생할 수 있다.
1.2. 가족 상담 및 가족치료의 필요성
현대인의 사회 복잡성과 경쟁성, 미래의 불확실성, 다양한 가치관, 정보의 범람 등의 영향으로 과거보다 많은 선택과 결정을 하여 다양한 사건과 긴장,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일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조급함, 걱정, 화가 나는 현상들이 많이 나타나 개인들의 스트레스 관리와 적응력, 문제해결능력이 과거보다 많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가족에게 정서적인 안정을 얻고자 하는 욕구가 더 많아졌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 간의 가치관 차이로 인해 세대별, 성별로 역할의 혼돈과 상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대화단절과 긴장, 불안정이 증가하여 적응력과 대처능력이 낮은 가족은 부부불화와 가족원의 일탈행동, 자녀비행과 폭력, 가출, 별거 등의 문제로 알코올 문제, 우울증, 자살, 이혼위기까지 겪게 되는 일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 비해 현대인은 개인적 정신건강을 위해 가족원 간 갈등이나 불일치, 관계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원과 전략이 계속 필요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가족 내에서 해결하거나 친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