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주기술 ESG경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뉴 스페이스 시대의 변화
1.1. 올드 스페이스에서 뉴 스페이스로의 전환
1.2. 스페이스X와 ESG 경영
1.3. 뉴 스페이스 시대의 대한민국 입장
2. 메타사피엔스의 미래
2.1. 우주 골드러시 시대
2.2. 로봇과 동거하는 세상
2.3. AI 메타버스가 만들어갈 디지털 세상
2.4. 나이듦과 죽음을 거스르며
2.5. 기후변화와 기업의 ESG 전략
3. 록히드마틴의 성장과 마케팅 전략
3.1. 배경 및 요인
3.1.1. 산업 및 국제 현황
3.1.2. 록히드마틴의 현황
3.1.3. 경쟁사
3.2. 성장 및 마케팅 전략 분석
3.2.1.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
3.2.2. 우주산업에서의 경쟁과 협력
3.2.3.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ESG 경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뉴 스페이스 시대의 변화
1.1. 올드 스페이스에서 뉴 스페이스로의 전환
우주개발 산업은 오랜시간 동안 정부 주도로 발전해왔다. 특히 냉전시대에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 경쟁이 촉발되면서 NASA와 같은 국가 우주기관이 설립되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우주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정부 주도의 "올드 스페이스"에서 민간 기업 중심의 "뉴 스페이스"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우주 개발에 대한 국가와 기업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정부 주도의 우주 개발은 정부 예산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다. 하지만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에는 수익성과 효율성이 더욱 중요해졌다. 민간 기업은 작은 규모의 로켓을 중심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술 혁신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민간 우주기업인 스페이스X는 2008년 최초로 민간기업이 지구 궤도에 로켓을 쏘아올리는 데 성공했다. 이어 재사용 가능한 로켓 발사 시스템을 구축하며 비용을 혁신적으로 낮추었다. 이처럼 스페이스X는 뉴 스페이스 시대를 선도하며 우주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우주 산업 생태계의 전반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과거 정부가 주도했던 우주 개발 사업에 민간 기업이 참여하고,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우주 관련 기술이 민간 분야로 확산되면서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있다.
이처럼 우주 개발 산업은 정부 주도의 "올드 스페이스"에서 민간 기업 중심의 "뉴 스페이스"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우주 개발 산업의 구조와 역할이 근본적으로 달라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1.2. 스페이스X와 ESG 경영
스페이스X는 자체적인 원재료 개발 및 발전 모델을 형성함으로써 ESG 경영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첫째, 스페이스X는 로켓 발사 비용 절감을 위해 재활용 가능한 로켓 발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는 "지속가능한 경영과 에너지 효율을 위함"이라는 일론 머스크의 경영 이념과 부합하는 전략이었다. 스페이스X는 로켓 회수에 성공하면서 사용했던 로켓을 재활용함으로써 발사 비용을 더욱 줄일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비용 감소의 효과를 일으킨 것뿐만 아니라 ESG 경영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둘째, 스페이스X의 폐배터리 재활용 사례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다. 스페이스X는 비용 감소를 위해 '폐배터리를 재사용'하는 것으로 대체안을 제안했다. 초기 용량의 70-80% 수준으로 배터리 사양이 감소하더라도 재활용이 가능한 경우 다른 용도로 재사용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비용 감소의 효과뿐만 아니라 ESG 경영의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스페이스X의 폐배터리 재활용 방식은 전 세계적으로 ESG 경영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장기적 관점에서의 접근이다. 우주산업으로의 발전에서 스페이스X 이전의 우주산업에서는 러시아 부품에 의존했었다. 때문에 러시아에 대한 높은 수입 의존도로 인해 로켓 발사 가격의 등락이 결정되었다. 하지만 스페이스X는 자체적인 원재료 개발 및 발전 모델을 형성함으로써 러시아에 대한 의존을 줄여나갔다. 이는 단기가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다. ESG 경영이 초반에 기업에 우려를 주었던 부분은 장기적인 목표를 위해서 단기적인 손해를 어느정도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스페이스X는 이러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점에서 ESG 경영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페이스X의 사례는 ESG 경영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재활용, 폐기물 관리, 장기적 관점의 의사결정 등 다양한 측면에서 ESG 경영의 모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3. 뉴 스페이스 시대의 대한민국 입장
결국 뉴 스페이스 시대는 이미 도래했고 정부나 대기업 중심의 우주 산업 분야 개발은 '우물 안의 개구리'가 되었다. 우주 전문 인력 양성이 중요해짐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정부와 대기업의 전문 인력 양성 지원 사업의 필요성이 보인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등의 기존 올드 스페이스를 중심으로 한 전문 인력 양성 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스타트업 등의 기업들이 우주 산업 분야에서 연구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보조금 등의 지급으로 간접적으로 뉴 스페이스 시대에 '올드 스페이스'의 역량을 지원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정적인 정규 교육 시간 내에서 이론 중심의 우주 교육은 뉴 스페이스 시대에 걸맞지 않다는 평가가 많다. 국내와 달리 NASA나 JAXA의 간행물 발행 등의 프로그램처럼 국내에도 다양한 테마로 창의적인 프로그램의 진행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즉,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로 우주 산업 전문 인력 양성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올드 스페이스의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뉴 스페이스 시대에는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작은 수준의 로켓 발사체를 중심으로 제작을 하고 있다. 아직 올드 스페이스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대한민국의 현 상황을 고려했을 때 중소중견기업이나 스타트업에 대한 자본금이 필수적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큰 규모의 발사체 개발이나 우주 프로젝트의 중심이 국가 주도로 시작되더라도, 스타트업이나 관련 우주산업과 연관되어 있는 기업들의 참여로 산업 자체에 대한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공위성에 있어서 대한민국은 높은 기술을 가...
참고 자료
국내 우주산업 ‘올드 스페이스’ 벗어야, 김호철, 경남신문,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58155
스페이스X서 얻는 ‘폐배터리 재활용’ 교훈, 윤수은, 이코리아, http://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396
우주산업에 부는 ‘ESG’ 바람, 동아사이언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0473
김정인. "4차 산업 혁명 사례와 물 산업의 응용" 저널 물 정책·경제 29, no.0 (2017): 55-64.
임상민, 이윤철, 박재찬. “선⋅후발국간 항공기 개발 전략적 제휴에 관한 연구 -미국 록히드 마틴과 대만, 일본, 한국의 협력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12권 제1호 (2014)
안중기. “한번도 르네상스 구현을 위한 VIP 리포트 : 주요국 우주산업 경쟁력 현황과 시사점 -민간 중심의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이 시급이다!” 현대경제연구원, VIP Report 626권 0호 (2015)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세계 방위산업체를 선도하는 "록히드 마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航空宇宙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79권 0호 (2002)
[주요국 우주산업 국제비교 및 시사점... 5대 우주강국 진입해야] 2021.06.16
http://m.fnewstv.com/news/newsview.php?ncode=1*************85
[Global arms industry: Sales by the top 25 companies up 8.5 per cent; Big players active in Global South] 2020.12.07
https://sipri.org/media/press-release/2020/global-arms-industry-sales-top-25-companies-85-cent-big-players-active-global-south
[Lockheed Martin's Technology-Infused Mobile Fish Pen Named A Top 25 Invention By TIME Magazine] 2013.01.10
https://news.lockheedmartin.com/2013-01-10-Lockheed-Martins-Technology-Infused-Mobile-Fish-Pen-Named-A-Top-25-Invention-By-TIME-Magazine
미국환경보호청
https://www.epa.gov/greenpower/green-power-partnership-national-top-100
Statista
www.statista.com
록히드마틴
www.lockheedmart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