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존 넬슨 다비와 그의 성경 해석
1.1. 존 넬슨 다비의 생애와 활동
존 넬슨 다비(John Nelson Darby, 1800-1882)는 아일랜드계 영국의 성경학자로, 최초의 플리머스 형제단(폐쇄 형제회)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현대 세대주의의 아버지로 인정받으며, 환란 전 휴거 신학이 그에게서 시작되었다. 스코필드 관주성경도 영향을 받았다.
다비는 1800년 11월 18일 웨스트민스터, 런던에서 출생하였다. 아일랜드계로 태어난 그는 웨스트민스터 학교를 거쳐 더블린의 트리니티 대학에서 공부하였다. 그는 학창시절부터 뛰어난 학생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특히 금메달을 획득할 만큼 두각을 나타냈다.
더블린 트리니티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한 후 다비는 아일랜드 대법원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1825년에 영국 국교회의 부제가 되었고 이듬해 신부로 서품되었다. 1826년에는 아일랜드 교회의 목사로 임명되었으며, 이때부터 그는 high churchman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다비는 한때 프로테스탄트라는 이름을 부인했었는데, 이는 그가 카톨릭 교회에 은혜가 함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카톨릭 교회가 이전의 사도들을 계승하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루터와 칼뱅과 그들을 따르는 자들은 교회 밖에 있다고 생각했었다.
1827년 겨울, 주님의 상(성만찬)을 가진 초기에 다비는 다른 사람들과 모이기 시작하였다. 1828년에는 부목사직을 사임하고, 벨렛(J. G. Bellett), 허친슨(F. Hutchinson), 파넬(Lord Congleton-John Parnell), 그로브스(A. N. Groves), 크로닌(E. Cronin), 스토크스(W. J. Stokes) 등 6명의 신앙동지와 함께 성만찬을 시작함으로써 기성 교계와 결별하였다. 이들은 '더블린의 7형제'로 불리며, 교회 역사상 '형제 교회'의 시발점이 되었다.
다비는 그리스도인의 간증(The Christian witness)이라는 잡지를 발행하여 유럽 전역에 배포하였고, 1837년에는 유럽대륙으로 건너가 1840년에는 불어를 사용하는 여러 교회가 형성되었다. 그의 성경주석(Synopsis of the Books of the Bible)도 이 무렵 출간되었는데, 이 5권으로 된 저서는 성경학자들에 의해 극찬을 받는 불후의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비는 히브리어와 헬라어, 라틴어에 능통했으며, 유럽 각국어에도 유창했다. 그가 번역한 불어 성경은 프랑스 전역에서 애용되고 있으며, 새 번역으로 불리는 그의 영어성경은 원어에 충실하기로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다. 그밖에도 독일어, 이태리어로 성경을 번역했다.
만년에는 유럽 전역은 물론 캐나다, 미국, 서인도제도, 뉴질랜드 등지에서 활동했으며, 영감이 넘치는 찬송을 수없이 작사하였다. 1882년 4월 29일 결국 그는 이 세상을 떠났다.
1.2. 다비의 성경 주석과 영향
다비의 성경 주석과 영향이다.
존 넬슨 다비(1800-1882)는 아일랜드계 영국의 성경학자로 최초의 플리머스 형제단(Brethren) 또는 폐쇄 형제회(Closed Brethren)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사람이었다. 다비는 세기 통계주의의 아버지로 인정받으며, 환란 전 휴거 신학이 그에게서 시작되었다. 또한 스코필드 관주성경도 다비의 성경 해석에 큰 영향을 받았다.
다비는 성경 주석인 『성경 각 권의 개요(Synopsis of the Books of the Bible)』을 통해 성경 전체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 책은 성경학자들에 의해 권위 있는 저작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비는 히브리어와 헬라어, 라틴어에 능통했으며, 성경을 독일어, 불어, 영어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다비의 성경 해석은 성경의 통일성과 계시의 일관성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는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역사의 진행과 하나님의 구원 경륜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환란 전 휴거설, 세대주의 등의 교리들이 그의 성경 해석에서 잘 드러난다.
다비의 성경 주석은 이후 성경 연구와 신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스코필드 관주성경을 비롯한 많은 성경 해설서들이 다비의 사상을 수용하였으며, 20세기 초반 발흥한 근본주의 운동에도 일정 부분 기여하였다. 또한 그의 성경 해석은 현대 침례교회와 오순절 교회 등에서 폭넓게 수용되었다.
그러나 다비의 지나친 세대주의적 해석과 문자적 해석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그의 성경 해석이 지나치게 조직신학적이며 성경의 문학적·역사적 맥락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