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대학교 정치와폭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 현대사와 민주화 운동
1.1. 서론
1.2.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발생 배경
1.3.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전개 과정
1.4.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의의
1.5.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민주화 운동
2. 대중매체와 청소년
2.1. 대중매체의 영향
2.2. 대중매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2.3. 바람직한 청소년 문화 형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 현대사와 민주화 운동
1.1. 서론
1.2.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발생 배경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부하 김재규의 총에 맞아 암살당하면서, 18년간 이어졌던 박정희의 군사독재시대는 종말을 맞이하였다. 그리고 민주화를 열망하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점점 더 커지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에도 민주화가 정착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희망의 시기는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전두환을 필두로 한 신군부가 1979년 12월 12일에 12.12 군사정변을 일으킴으로써 군부를 장악하였다. 이에 전국의 수많은 대학생과 재야의 지식인들, 야당 의원들은 '계엄 해제와 민주화 이행'을 주장하였다. 3월 개강 이후 대학가를 중심으로 규탄 집회가 일어나면서 민주화를 열망하는 시민들의 움직임이 더욱 본격화되기 시작하였고, 1980년 5월 10일에 23개 대학 대표로 구성된 전국 총학생 회장단은 '비상계엄 즉각 해제, 전두환 등 유신 잔당의 퇴진'등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거리시위를 계획했으며, 13일 대학생을 중심으로 거리시위를 시작했다. 15일 서울역 집회에서 시위는 정점을 이뤘고, 그날을 빌미로 삼아 5월 17일 신군부는 비상계엄령을 전국으로 확대하며 사실상 정권을 장악하였다.
1.3.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전개 과정
군부 세력을 규탄하는 집회는 전라남도 광주에서도 대규모로 일어났다. 특히 서울역 회군 소식을 들은 광주 지역의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5월 14일부터 '민족민주화대성회'라는 이름으로 시위를 시작되었다. "제가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 박관현이올시다. 이 우레와 같은 박수와 여러분의 함성이 전 국토와 민족에게 다 들릴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큰 목소리로 외쳐봅시다. 우리가 민족민주화 횃불대행진을 하는 것은 이 나라 민주주의의 꽃을 피우고, 이 횃불과 같은 열기를 우리 가슴속에 간직하면서 우리 민족의 함성을 수습하여 남북통일을 이룩하자는 뜻이며, 꺼지지 않는 횃불처럼 우리 민족의 열정을 온 누리에 밝히자는 뜻입니다. 이런 뜻에서 우리 광주시민, 아니, 전남도민, 아니, 우리 민족 모두가 이 횃불을 온 누리에 밝히기 위해 이 자리에 모인 것입니다." - 1980년 5월 16일 민족민주화대성회에서 박관현의 연설
광주에서의 집회는 5월 16일 절정에 이르렀다.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수들도 거리에 나와 시위에 동참하였다. 17일 새벽, 계엄군은 재야 정치인과 민주화 운동 관련자를 연행하거나 연금시키기에 이르렀고, 국회와 정부 기관, 대학, 언론사 등에 계엄군을 주둔시켰다. 17일 저녁...
참고 자료
허윤정(2014), <현대한국사회>,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이항우 외(2011),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인
윤선자, 「[5·18연구] ‘5·18’ 광주항쟁과 1980~1990년대 한국 민주화 운동」, 민주주의와 인권 제5권 2호, 2005, 12-14면
김영택, 「5·18 광주민중항쟁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1-67면
네이버 백과사전, 「5·18 민주화운동」, 두산백과
劉光鍾, 「5.18光州民主化運動 被害補償에 關한 硏究 : 過程과 實態를 中心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1-62면
황주혜,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의 5·18광주 민주화운동의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1-67면
이영희(2010)『대중영상매체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문숙희(2012)『대중매체의 선정성이 청소년의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