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독립운동의 발자취
1.1. 선조들의 자주독립 정신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 정신은 오랜 역사 속에서 면면히 이어져 왔다. 선조들은 외침과 침략에도 끊임없이 자국의 주권과 자유를 지키고자 하였다.
삼국시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은 4세기 초 한반도 전역을 통일하며 강대국으로 군림하였다. 광개토대왕릉비에는 그가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과시한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는 민족 자주성과 영토수호를 위한 선조들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신라의 경우 통일신라 시기에는 국력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외교정책을 펼치며 국가 간 균형을 모색하였다. 9세기 헬라선사가 이끈 신라 승선들의 대당공격 사건은 이를 잘 보여준다. 신라는 당나라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자주적 지위를 확보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강한 자주 정신을 바탕으로 몽골과 제국주의 열강들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였다. 특히 살수대첩, 황산대첩 등 주요 전투에서 고려군은 막강한 군사력과 용기를 발휘하였다. 이는 고려인들이 자국의 주권과 영토를 지키고자 하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명과 청 사이에서 자주적 외교정책을 펼치며 국가 이익을 지키고자 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이끈 거북선 전략은 일본의 침략을 막아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척화비 등을 통해 서양 세력의 침략을 배격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이처럼 선조들은 수많은 외침과 침략 상황에서도 자국의 주권과 독립을 지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들의 이러한 자주 정신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길러왔으며, 오늘날 대한민국의 발전과 번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독립기념관 견학 여정
천안의 독립기념관을 방문한 학생들은 우리나라 민족 정신과 역사의 발자취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먼저 정문 앞에 놓여 있던 무료 보리차 한잔으로 여유로운 시작을 할 수 있었다. 이어서 야외에 전시된 일제 강점기 고문 도구와 감옥 모형을 보며 독립운동가들이 겪었던 고난과 수탈의 역사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비록 어린 아이들이 그것을 장난감처럼 다루며 즐겁게 노는 모습을 보았지만, 이제는 그러한 고문의 역사를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는 나이가 된 것에 감사하는 마음이 들었다.
이어서 방문한 7개의 전시관에서 학생들은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와 역사를 하나하나 발견할 수 있었다. 제1관 '겨레의 뿌리'에서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우리 전통문화와 역사를 살펴보며, 광개토대왕릉비와 고구려 무용총, 신라 황룡사와 백제 미륵사 등 선조들의 업적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특히 임진왜란 때 활약한 거북선의 모형을 보며 우리 선조들의 용맹함과 지혜에 감탄했다.
제2관 '겨레의 시련'에서는 근대화를 위한 노력이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좌절된 모습과 이에 맞선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을사늑약 체결 모형과 일본군이 사용한 각종 장비, 그리고 수탈 상황을 전시한 작품들을 통해 일제의 만행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었다. 특히 '척화비'에 새겨진 "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자는 것이니, 화친을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라는 문구에서 당시 조상들의 애국심과 자주 정신을 느낄 수 있었다.
제3관 '나라 지키기'에서는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 국채보상운동 등 대한제국이 일제로부터 나라를 지키기 위해 펼친 노력을 살펴볼 수 있었다. 안중근 의사와 같은 독립투사들의 활약상을 통해 조상들의 희생과 헌신이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나라는 망해도 의병은 죽지 않는다"라는 문구에서 끊임없이 일어서서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선조들의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제4관 '겨레의 함성'에서는 민족 최대의 항일 독립운동인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다양한 자료를 접할 수 있었다. 유관순 열사의 넋을 기리는 모습에서 당시 청소년들의 뜨거운 애국심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제의 잔학한 탄압에 대한 기록을 보며 민족 정신이 얼마나 강했는지 깨닫게 되었다.
제5관 '나라 되찾기'에서는 만주와 연해주, 미주 등지에서 활동한 독립군의 활동상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특히 청산리 대첩에서 승리한 모습과 조선혁명선언, 윤봉길 의사의 시 등을 통해 독립을 향한 투지와 신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독립 전쟁의 과정 속에서 비록 당시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영토와 국민, 주권을 온전히 갖추지 못했지만 민주적 정치 체제와 불굴의 의지를 보여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