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도자공예
1.1. 신석기 토기
신석기 토기는 선사시대에 제작된 토기로, 그 특징과 발전 과정이 주목받고 있다. 신석기 토기는 주로 빗살무늬 토기와 덧무늬 토기로 구분된다."
빗살무늬 토기는 빗자루나 나무토막으로 토기 표면에 새긴 직선 또는 사선의 줄무늬가 특징이다. 이러한 빗살무늬는 당시 토기를 제작하는 사람들의 상징성과 주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빗살무늬 토기에는 다양한 문양이 등장하는데, 당시 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
덧무늬 토기는 토기 표면에 진흙으로 만든 띠를 붙여 장식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장식은 토기의 강도를 높이고 아름다운 외관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었다. 덧무늬 토기는 주로 해안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어, 당시 한반도와 일본 간의 교류를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신석기 토기는 선사시대 토기 문화의 발전 과정을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 빗살무늬와 덧무늬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2. 청동기 토기
청동기 토기는 신석기 토기에 비해 발전한 형태의 토기로, 주로 청동기 시대에 제작되었다. 청동기 토기에서는 민무늬 토기와 가지무늬 토기 등 다양한 종류의 토기가 등장하였다.
먼저 민무늬 토기는 점토질 흙에 점토질을 섞어서 빚어 올린 토기로, 균일한 갈색조를 띠고 있다. 이는 일본의 야요이 토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가지무늬 토기는 북의 홍도에서 변한 남한 홍도가 발전한 형태의 토기이다.
다음으로 붉은간 토기는 굽기 전 그릇 표면에 철분이 많은 진흙을 바르고 문질러 붉은색을 띠게 한 토기로, 일상용기와 부장용으로 사용되었다. 검정간 토기는 동물 배설물이나 낙엽, 연기를 이용해 검은 광택을 낸 토기이다.
이처럼 청동기 토기는 신석기 토기에 비해 기술이 한층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진 토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당시 사회가 발전하면서 토기의 용도와 필요성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동기 토기의 발전은 당시 토기 제작 기술의 성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3. 삼국시대 토기
삼국시대 토기는 신라, 백제, 고구려 각 국가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며 발전해왔다. 신라 토기는 굽다리 접시와 항아리형 호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신라 토기의 특징은 굽다리가 높고 길며 문양 또한 기하학적인 삼각형, 동심원 등의 무늬가 주를 이룬다. 또한 다리에 구멍이 뚫린 형태의 토기도 등장하였는데, 이후 시기로 갈수록 굽다리가 짧고 빈약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토우장식이 달린 장경호는 신라 토기의 대표적인 형태로, 넓고 길쭉한 원통형 목과 둥근 몸체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신라토기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토우장식은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토기는 민무늬 무문토기와 가가무늬 토기 등이 특징적이다. 백제 토기는 일본의 야요이토기에서 영향을 받아 점토를 섞어 제작하였으며, 붉은 간토기와 검정 간토기 등 다양한 색상의 토기들도 만들어졌다. 이들 토기는 일상용기와 부장용으로 사용되었다.
고구려 토기는 반달모양의 토기와 봉화용 토기 등이 대표적이다. 반달모양 토기는 신라토기와 달리 굽다리가 짧고 몸체가 둥근 형태를 보인다. 또한 봉화용 토기는 고구려 특유의 것으로, 봉화를 피우기 위해 만들어진 토기로 추정된다. 이 토기는 평면이 장타원형이며 몸체가 높고 뚜껑이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처럼 삼국시대 각국의 토기는 독자적인 기형과 문양을 지니고 있어 당시 각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4. 통일신라 토기
통일신라 토기는 신라의 토기 제작 기술을 이어받으면서도 독자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전기의 경우 분황사 모전탑 토기에서 볼 수 있듯이 전탑 양식과 목탑 양식이 동시에 나타나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인다. 옥개석의 층단 구조와 배흘림 기둥, 주두부분 등에서 전탑 양식과 목탑 양식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백제와 신라 토기의 절충적 양식으로 볼 수 있다.
중기에는 5층 탑신을 가진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탑 양식이 등장한다. 초층 탑신은 4장의 판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위의 탑신은 단일석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옥개석과 옥개받침이 단일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적인 균형과 안정성이 돋보인다. 이처럼 통일신라 토기는 백제와 신라 토기의 특징을 모두 계승하면서도 독창적인 양식을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다.
후기에는 3층 탑신으로 구성된 양식이 주를 이루게 된다. 옥개석과 탑신석이 각각 단일석으로 제작되어 체감률이 잘 드러나며, 옥개받침의 수도 5단에서 4단으로 축소되었다. 이처럼 점차 단순화되고 간략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규모의 축소와 함께 조형성이 섬세해지는 변화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통일신라 토기의 변화 과정은 당시 사회적 배경과 맥락을 반영한다. 고구려와 백제의 영토에 남아있던 다양한 탑 양식들이 통일신라에 수용되면서 우리나라 전형적 탑 양식이 완성되었다. 또한 삼국시대 1탑식 가람 배치에서 쌍탑식 가람 배치로의 변화도 통일신라 토기 양식 변천에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통일신라 토기는 신라 고유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적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발전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1.5. 고려 청자
고려 청자는 철분이 소량 섞인 청자토로 기형을 빚고 철분이 소량 섞인 유약을 바른 후 환원염으로 구운 자기이다. 고려 청자는 순청자, 상감청자, 철화청자, 회청자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들은 각자의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먼저 순청자는 무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