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고4p분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비비고4p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비비고 분석
2.1. 비비고 소개
2.2. 비비고 SWOT 분석
2.3. 비비고 STP 전략
2.4. 비비고 마케팅 4P 전략
2.5. 비비고 차별화 전략

3. 타코벨 분석
3.1. 타코벨 소개
3.2. 타코벨 SWOT 분석
3.3. 타코벨의 한국 진출 사례 및 성과 분석
3.4. 타코벨의 영국 진출 사례 및 성과 분석

4. 비비고와 타코벨 비교 분석
4.1. 한국 시장 비교
4.2. 영국 시장 비교
4.3. 종합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본 보고서는 CJ그룹의 주요계열사 중 하나인 CJ제일제당이 보유한 브랜드 비비고에 대한 탐구를 목표로 합니다. 비비고는 CJ그룹의 강력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즉석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한류의 흐름을 타고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는 비비고의 성장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전략이 그들의 성공을 이끌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떠한 전략이 필요한지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본 보고서는 비비고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SWOT 분석을 통해 정밀하게 살펴보며, 그 과정에서 비비고의 STP 전략(시장 세분화, 타겟팅, 포지셔닝) 그리고 4P 전략(제품, 가격, 유통, 촉진)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비비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합니다.


2. 비비고 분석
2.1. 비비고 소개

비비고는 CJ의 비빔밥 전문 체인 및 브랜드명이다. 상표명의 유래는 전통 한식의 철학 "비빔"과 편리함과 현대성을 상징하는 "go"의 합성어라고 한다. 비비고 레스토랑은 2014년 1월 한국 11개점, 미국 3개점, 싱가포르 4개점, 중국 4개점, 일본 2개점, 영국 1개점, 인도네시아 1개점으로 총 26개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비비고 제품은 20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2020년까지 맥도날드에 견줄만한 한식 대표 브랜드로 성장하면서 동시에 해외매출 1조5000억원을 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비비고는 '카페소반'이라는 기존 해외 진출 브랜드가 외국인과 한국인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았던 네임이었던 것을 고려하여, 새로운 브랜드 bibigo는 '비빔밥'과 '비비다'에 대한 한국어 어원과 'TO-go'의 의미로 외국인과 한국인 모두 발음하고 쉬운 이름으로 개선되었다. Korean Healthy Fresh Kitchen BIBIGO 라는 컨셉으로 한식 고유의 맛과 비빔밥의 전통을 살리면서 세계인의 입맛에 맞게 비빔밥의 밥과 소스, 토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메뉴도 샐러드에 익숙한 외국인들에게 나물이라는 새로운 스타일의 채소에 샐러드(Rice Salad)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가격도 8~9달러 정도로 누구나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만든 글로벌 브랜드이다.


2.2. 비비고 SWOT 분석

비비고의 SWOT 분석은 다음과 같다.

강점(Strength)으로는 첫째, 한국의 특수성과 전 세계의 보편성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비비고는 한국 전통 음식인 비빔밥의 맛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외국인들의 입맛에 맞춘 메뉴 개발을 통해 전 세계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둘째, 친환경적이고 건강에 좋은 천연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이 강점이다. 이는 최근 웰빙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건강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셋째, CJ 푸드빌의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경영과 안정적인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마지막으로 프랜차이즈 기업이 아니기 때문에 로열티에 따른 손실이 없다는 점도 강점으로 볼 수 있다.

약점(Weakness)으로는 첫째, 간소화된 메뉴 구성으로 인해 전통 비빔밥만큼의 맛을 내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패스트푸드의 빠른 제공 속도를 따라가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셋째,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인지도가 아직 낮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기회(Opportunity)로는 첫째, 비빔밥이 국내외에서 널리 알려지면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웰빙 붐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천연 재료와 건강식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한류 열풍으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한식 업계 전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채식주의자들이 증가하면서 채식 메뉴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지역 산 식재료를 사용하는 식당을 선호하는 트렌드가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위협(Threat)으로는 첫째, 낮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둘째, 반한류 감정의 형성 가능성이다. 셋째, 한식당의 식자재 공급망이 불안정하다는 점이다. 넷째, 식자재 값 상승으로 인한 경영 압박이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음식과 문화에 대한 외국인들의 거부감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2.3. 비비고 STP 전략

비비고는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타겟팅(Targeting), 포지셔닝(Posi...


참고 자료

일간스포츠 2014년 3월 17일자 ‘CJ그룹, 큰 꿈 품었던 외식사업 진퇴양난’
컨슈머타임스 2014년 1월 16일자 ‘CJ푸드빌 ‘가로수타운’ CJ올리브영에 내줬다‘
아크로팬 2013년 7월 26일자 ‘CJ푸드빌 비비고, 유럽 영국 런던 첫 진출’
Wikipedia Taco Bell 중 United Kingdom 항목
타코벨 영국 공식홈페이지 http://www.tacobelluk.co.uk/
High Beam Business 2008년 11월 28일자 ‘KFC and Taco Bell gain appetite for UK: Yum! may try again with US brand’
해외창업성공사례 Big4 http://www.rgm.co.kr
CJ 비비고 공식 홈페이지, http://www.ibibigo.com/
CJ푸드빌 비비고, 유럽 영국 런던 첫 진출 http://www.acrofan.com/ko-kr/commerce/news/20120726/00000026
NAVER 위키백과사전
CJ공식 홈페이지 http://www.cj.co.kr
글로벌 경영/ 유원북스/ 박주홍
글로벌 마케팅/ 유원북스/ 박주홍
비비고의 성공적인 영국진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5751262
세계 입맛 잡은 ‘비비고’ 가공식품 한국상륙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30911000403&md=20130914004541_BK
CJ 비비고, 제1회 ‘한식의 날’ 공식 후원 http://www.dailian.co.kr/news/view/39162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