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프로그램 광고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TV 프로그램 광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접광고(PPL)의 개념과 활용
1.1. 간접광고(PPL)의 정의
1.2. 간접광고의 유형
1.3. 간접광고의 장단점
1.4. 간접광고 관련 규제현황

2. TV 프로그램에서의 간접광고 사례 및 문제점
2.1. 드라마 및 예능 프로그램의 간접광고 사례
2.2. 간접광고의 문제점

3. 간접광고 개선방안
3.1. 규제기준 및 용어 개념 명확화
3.2. 자연스러운 광고 배치를 위한 방안
3.3. 광고주와 제작사 간 의사소통 활성화

4. 간접광고의 긍정적 활용방안
4.1. 광고주의 효율적 마케팅 전략
4.2. 방송사의 안정적 수익 확보
4.3. 시청자의 시청 만족도 제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접광고(PPL)의 개념과 활용
1.1. 간접광고(PPL)의 정의

간접광고(PPL)는 광고주가 제품의 판매량을 늘리거나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일정 대가를 지불하고 제품이나 브랜드명, 로고 등을 미디어에 노출시켜 소비자를 설득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원래는 드라마나 영화 등의 제작 시 소품 배치를 뜻하는 말이었지만, 최근 이와 관련한 광고 효과가 나타나면서 광고를 노리고 상품을 미디어에 등장시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즉, 직접적인 광고가 아닌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 특정 상품, 업체, 사실 등을 홍보하는 것을 간접광고라고 한다."


1.2. 간접광고의 유형

간접광고의 유형은 정보 양식(Information Modality)과 표현양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정보 양식에 따른 간접광고의 유형은 크게 화면(Screen), 대사(Script), 구성(Plot)으로 나뉜다. 화면 배치는 장면에 대한 지각적 측면을 활용한 것으로, 크리에이티브 배치(Creative Placement)와 온셋 배치(On-set Placement)로 구분된다. 크리에이티브 배치는 한 장면의 배경에서 제품이 등장하는 것이고, 온셋 배치는 주연배우가 제품을 직접 언급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사 속 배치(Script Placement)는 청각 또는 구두적 측면을 활용한 배치로, 주인공이 특정 브랜드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플롯 내 배치(Plot in Placement)는 프로그램 맥락에서 중요하거나 인물의 등장에 필수적인 제품으로, 시각과 청각 중 한 부분만 활용하거나 두 측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표현양식에 따른 분류로는 시각적 양식, 청각적 양식, 시청각 혼합양식으로 나뉜다. 시각적 양식은 메시지나 음성 없이 제품, 로고, 간판 등의 시각적 브랜드를 보여주는 것이다. 청각적 양식은 화면에 제품을 노출하지 않고 브랜드명이나 관련 메시지를 언급하는 것이다. 시청각 혼합양식은 영상에 제품을 노출하면서 동시에 브랜드명 언급 등 청각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중 시청각 혼합양식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두 매체가 필요하므로 실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3. 간접광고의 장단점

간접광고(PPL)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적인 광고와 달리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가 영상을 보는 중에 자연스럽게 광고에 노출되기 때문에 상품 홍보에 대한 거부감이 적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에 간접적으로 노출된 상품을 보는 시청자에게 자연스럽게 구매욕구를 불러일으켜 상품 홍보에 성공할 수 있다. 둘째, 간접광고는 지속적인 노출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은 케이블 프로그램에서 지속적으로 재방송되므로 프로그램에서 한 번만 간접광고를 했더라도 지속적인 노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업은 해당 상품의 판매고를 올리거나 회사나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줄 수 있다. 셋째, 간접광고를 통해 방송사 등의 미디어 매체는 부족한 제작비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간접광고를 의뢰받은 제작사는 상품을 노출해주고 금전적 혜택을 받기 때문에 제작비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면에 간접광고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광고를 프로그램 내에 과하게 노출할 경우 시청자에게 큰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최근 드라마 '시그널'의 경우 라면, 김치, 화장품, LED 마스크, 치킨집 회식 등을 과도하게 노출하여 시청자들의 불편함을 야기했다. 이로 인해 시청자들은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지 광고를 보고 있는지 혼란을 겪게 된다. 둘째, 이미 좋지 않은 이미지의 제품을 간접광고로 노출할 경우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과거 MBC 예능 프로그램에서 방영된 '코코넛 음료'는 맛이 없다는 평이 이미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음에도 유명 연예인이 마시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소비로 이어지지 않았다. 셋째, 영화나 드라마가 흥행에 실패할 경우 간접광고로 방영된 상품의 이미지도 부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물론 간접광고로 인한 프로그램의 실패는 아니지만,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 어려워질 수 있다.간접광고(PPL)의 장단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장점으로는 첫째, 직접 광고에 비해 시청자의 거부감이 적고 자연스럽게 상품을 노출할 수 있다. 둘째, 재방송 등을 통해 지속적인 노출이 가능해 상품 홍보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셋째, 방송사 입장에서는 제작비 충당 등의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단점으로는 첫째, 과도한 노출로 인해 시청자의 거부감이 커질 수 있다. 둘째, 이미지가 좋지 않은 상품의 경우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셋째, 프로그램의 흥행 실패 시 간접광고 상품의 이미지도 부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1.4. 간접광고 관련 규제현황

간접광고(PPL)는 방송법적으로 몇 가지 규제를 받고 있다. 첫째, 오락 프로그램과 교양 프로그램에서만 간접광고를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주 시청자가 어린이이거나 시사, 보도, 토론, 논평과 같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에서는 간접광고를 할 수 없다. 셋째, 특정 상품의 상표 등이 전체 화면의 4분의 1을 넘어서는 안 되며, 간접광고의 노출 시간이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100분의 5를 넘지 않아야 한다. 넷째, 간접광고가 방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상품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이용과 구매를 권유할 수도 없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된 관련 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불가피한 자연스러운 노출이라는 핑계를...


참고 자료

장 마르크 레후, 『PPL 간접광고』, 2011
이경렬 외, 『스마트 시대의 광고 미디어,』2012
김동혁, 매체 내의 간접광고(PPL)에 대한 고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31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09년 10월.
김봉현, TV 프로그램 내 간접광고로서의 PPL 운용 및 규제에 관한 소비자 인식조사연구, 광고학연구 16권 2호, 한국광고홍보학회, 2005년 6월.
김재휘·이해양, TV 드라마에 의해서 유발된 정서가 PPL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4권 2호, 한국심리학회, 2013년 12월.
박수경·전범수, PPL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충성도가 지상파 오락 프로그램 평가에 미치는 영향: 개그콘서트, 무한도전, 런닝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년 12월.
신일기, 간접광고(PPL)를 통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고려사항, 마케팅 2011 7 제45권 제7호, 한국마케팅연구원, 2011년 7월.
양문희, 지상파 방송 PPL 규제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시청자 만족도 및 해외시장 경쟁력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8권 1호, 문화방송(MBC), 2007년 6월.
유승엽, PPL 속에 제시된 상표에 대한 모자이크 처리의 간접광고 효과, 미디어 경제와 문화 1권 4호, SBS문화재단, 2003년 11월.
이용재, TV 드라마 PPL에 대한 수용자 태도 연구, 언론과학연구 6권 2호, 한국지역언론학회, 2006년 6월.
이희복·차영란, 가상광고와 간접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권 5호,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 5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시청자의 매체별 광고 회피 경향에 관한 특별기획조사, 2015년 12월.
한성희·여정성, TV 프로그램 속의 PPL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와 영향력 분석, 소비자학연구 18권 1호, 한국소비자학회, 2007년 3월.
Gupta. P. B. & Lord. K. R.,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s of prominence and mode on audience recall,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No. 20 Vol. 1, 1998.
Russel, C.A., Toward a framework of Product Placement : Theoretical Propositions, Advance in Consumer Research No. 25, 1998.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2728966615833800&mediaCodeNo=257&OutLnkChk=Y (최종접속일: 2018. 6. 13. 2:00): 최은영 기자, 성공한 PPL, 실패한 PPL…‘도깨비’ 최고 ‘태후’ 최악, 이데일리, 2017. 2. 24. 11:40.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1/26/2017012602070.html (최종접속일: 2018. 6. 12. 11:36): 윤민혁 기자, '도깨비' 성공에 PPL 참여 기업들 함박웃음…삼성전자만 쓴웃음 까닭은, 조선비즈, 2017. 1. 27. 14:00.
https://www.huffingtonpost.kr/2015/09/02/story_n_8080348.html (최종접속일: 2018. 6. 12. 14:53): 강병진 기자, '용팔이'에 등장한 주원과 김태희의 '직방' PPL,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5. 9. 3. 6:56.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0425000261 (최종접속일: 2018. 6. 12. 15:09): 박지원 기자, 드라마 PPL의 나쁜 예…'귓속말' 이보영 선스틱 "너도 바를래?", 뉴스핌, 2017. 4. 25. 17:19.
http://nemos.tistory.com/527 (최종접속일:2018. 6. 12. 9:43)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93queen&logNo=22088296039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최종접속일: 2018. 6. 12. 10:29)
https://blog.naver.com/zahir_wud/221232176606 (최종접속일: 2018. 6. 12. 15:59)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909350&memberNo=36645352 (최종접속일: 2018. 6. 12. 16:18)
http://www.campmnc.com/bbs/board.php?bo_table=portfolio&wr_id=85 (최종접속일: 2018. 6. 12. 17:54)
<국내문헌>
김용호, (1993), "시청률조사의 문제점과 표준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김진호, 신해진과 박준환. (1995, 가을). TV 시청시 채널변경에 관한 연구, `95년 한미 공동 마케팅 학술 발표회 발표 논문
김충현, (1995), "프로그램의 상황 및 배경이 광고의 설득력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가을호 , pp.35-64
대홍기획, (1996), “텔레비전 시청 중복률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광고연구』, 제32호
안광호, 유창조 (1998), "광고원론,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접근", 법문사
윤선길, "TV 광고 시청행동 연구", 「광고연구」, 1996년 봄호, pp.299-327
조정식, 김경희, "텔레비전 광고시청률과 프로그램시청률의 차이분석", 「광고정보」, 1997년 봄호, pp.9-29
윤현숙, (1996), "매체환경 변화와 시청패턴에 관한 연구-충성도 개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혜갑, (1999), "프로그램 주시율과 광고 주시율 차이에 관한 관찰연구", 광고연구, 제 45호
이정혜, (2000), "에드포커스-99년 총 광고비 분석", 광고정보 3월

<국외 문헌>

Allen, C. (1965). Photographing the TV audienc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 (1), pp.2-8.
Bunn, Derek W. (1982), "Audience Presence During Breaks in Television Program",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2 (5), October/November, pp.35-39.
Bogart, L. & C. Lehman, "The case of the 30-second commercia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3 (1), pp.11-19
Danaher, Peter J., (1995), "What Happens to Television Ratings During Commercial Break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January/February, pp.37-48.
Danaher, Peter J. & Terence W. Beed, (1993), "A Coincidental of People Meter Panelists: comparing what people say wit h what they do",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January/Febrary, pp.86-92
Ehrenberg, A. S. C., & Twyman, W. A. (1967). On measuring television audience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pp.1-59.
France, Karen R., Reshma H. Shah & C. Whan Park, (1994), "The impact of emotional valence and intensity on Ad evaluation and memor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1, pp.583-588.
Heeter, C. & Greenberg, B. S., (1985). Profiling the zapper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 (2), pp.15-19.
Kaplan, B. M., (1985). Zapping-The real issue is communica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5 (2), pp.9-1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