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글로벌 리더로서 국제평화를 확보 및 유지하기 위한 전략(방안)을 논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국제분쟁 현황
2.1. 중동-이스라엘 전쟁
2.2. 9·11 테러
3. 국제평화 유지 전략
3.1. 법제화 및 제도화
3.2. 조직 네트워크 구축 및 역량강화
3.3. 평화유지군 확대
3.4. 교육과 문화를 통한 인식개선
4. 글로벌 리더의 역할
4.1. 외교적 능력 발휘
4.2. 국제기구에 대한 경제적 지원
4.3. 국제평화 여론 형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전 세계는 긴장 상태에 들어갔으며,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튀르키예 또한 이슬람 원리원칙주의자들이 다시 정권을 잡으며 에르도안이 장기독재 체제를 갖추어 21세기 술탄으로 인식되며 이슬람 세력이 부흥하기 시작했다. 또한 이스라엘-파키스탄 전쟁의 시작으로 미국-이스라엘과 이슬람 세력 간의 충돌이 점점 과격해지는 상황이며, 레바논과 시리아, 이란을 비롯한 이슬람 세계 역시 수니파와 시아파 이슬람들이 각각 자신들이 목표로 하는 이슬람 세계의 완성을 위해 무장 테러 단체들을 지원, 혹은 직접 군사력을 투입하여 분쟁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만일 현재의 국제체제가 단순히 단극적 국제체제라면 그 초강대국은 중요한 국제문제를 혼자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고 여타 국가들의 어떠한 결합도 유일한 초강대국이 그렇게 하는 것을 막을 힘을 갖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미국이라는 세계의 경찰이 존재하지만,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국제분쟁은 혼자서 해결할 수 없으며, 국제평화와 안보를 위한 국제연합인 유엔이 존재하지만, 강제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국제분쟁의 해결에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지도자들이 취해야 할 자세와 국제평화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은 어떤 것일지를 실제 분쟁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2. 국제분쟁 현황
2.1. 중동-이스라엘 전쟁
1948년 발발한 1차 중동전쟁은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한 직후 주변의 아랍 국가들과의 강력한 군사 충돌로 시작되었다. 이 전쟁을 통해 이스라엘은 승리를 거두어 정치적인 우위를 확보하고 성공적으로 군사적인 영토를 확장하여 건국을 이루었다.
1956년에 발발한 2차 중동전쟁은 수에즈 위기로,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이 이집트를 상대로 군사적 개입을 시도한 충돌이었다. 이를 통해 이스라엘은 수에즈 운하 지역에서 전략적인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1967년에 발발한 3차 중동전쟁은 이스라엘이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에 선제공격을 가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중동 지역의 국경을 변경하고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여 원래의 국경을 크게 넘어선 지역을 획득하게 되었다.
1973년에 발발한 4차 중동전쟁은 시리아와 이집트가 이스라엘을 동시에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 이스라엘이 큰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미국의 지원을 받아 전세를 뒤집고 휴전 협정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후 전쟁을 반복하는 것이 각국에 이득이 되지 않는다는 것과 아랍 국가들이 단순한 산유국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산업을 고도화시키려는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대대적인 전면전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크고 작은 분쟁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전쟁으로 또 다시 중동의 정세가 혼란에 빠져 있다.
2.2. 9·11 테러
2001년 9월 11일 아침 미국인의 눈이 텔레비전 앞에서 얼어붙었다. 뉴욕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세계무역센터의 쌍둥이 빌딩에 연이어 2대의 여객기가 돌진했고 빌딩은 순식간에 불길에 휩싸였다. 희생자 중에는 일본 금융기관 관계자도 적지 않게 있었고, 빌딩 옥상으로 도망가려는 사람들 속에는 세계 각국에서 온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월스트리트는 확실히 세계화의 중추가 되어 있었고, 이 테러는 세계화된 국제경제에 대한 공격이기도 했다.
테러를 자행한 이슬람 과격파인 알카에다는 걸프전 후에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주둔하고 있는 미군이 이슬람교 성지를 침략한 것으로 간주하여 미국에 성전을 선포했다. 이슬람 과격파들의 사상은 서양 사회는 이미 사람들에게 진정한 삶의 보람을 느끼게 하는 생기있는 가치관이 사라졌다는 굴절된 우월의식에서 출발한다. 알카에다는 그와 같은 사상에 마르크스적 전위사상 등의 영향을 받아 영혼의 구원을 인도하는 신앙인 이슬람교를 전파하는데 강한 사명감을 드러냈다.
한편 사회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서양 근대 발전의 가장 기본적 원리인 종교적 관용을 용인하지 않는 태도를 보인다. 그러한 점에서 미군 주둔이나 미국과 영국의 이라크 공격에 대해 세계...
참고 자료
Joseph S Nye Jr, 2000,『국제분쟁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Igarashi Takeshi, 2014,『세계제국, 미국』, 역사공간
김태현, 2001,「테러와 국제평화」, 統一問題와 國際關係
강성학, 2013, 『평화神과 유엔 사무총장』, 고려대학교 출판부
전기원, 1996,「미국 헤게모니의 지속」, 한국정치학회
평화학연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vol.14, no.1, pp. 5-28
국제협약 시각에서 보는 대테러, 법치, 인권, 천쩌쉬앤,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5, vol.17, no.4, 통권 35호 pp. 253-269
국제분쟁의 이해, 양준희, 한울아카데미, 2000, pp75∼76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24.06.0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93510&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4.06.0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709138&cid=43667&categoryId=43667
선명수, “이스라엘, 국제법원 ‘라파 공격 중단’ 명령도 무시···국제사회 고립 자초”, 경향신문, 2024.05.26
서혜림, “이스라엘, 라파 도심서 근접전…"중심부로 더 깊숙이 진격””, 연합뉴스, 2024.05.24
정빛나, “EU 회원국들, 헝가리 '우크라 지원금' 집행 거부에 격분”, 연합뉴스,
2024.05.28
소하 이브라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6개월째…통계로 살펴보는 가자 지구
의 상황”, BBC NEWS 코리아, 2024.04.07
김다원, “유엔 "우크라이나 전쟁 민간인 사망자 1만명 넘어"”, 한국NGO신문,
2023.11.22.
김상훈, “네타냐후 '45명 사망' 라파 난민촌 공습에 "비극적 실수"”, 연합뉴스,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