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스포츠미디어세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스포츠 영웅과 사회 헤게모니
1.1. 스포츠 영웅의 사회적 의미
1.2. 스포츠 영웅과 지배 이데올로기
1.3. 스포츠 영웅의 정치적 기능
2. 대한민국 스포츠청 설립 논의
2.1. 스포츠청 개요 및 일본 사례
2.2. 스포츠청 설립 찬반 논의
2.3. 스포츠청 설립의 현실적 어려움
3. 스포츠계의 폭력 문화
3.1. 스포츠폭력의 문제점
3.2. 스포츠폭력의 사회적 전파
3.3. 스포츠폭력 근절을 위한 노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스포츠 영웅과 사회 헤게모니
1.1. 스포츠 영웅의 사회적 의미
스포츠 영웅은 사회 구성원들에게 가치 있고 존경받는 인물이며, 그들이 보여준 뛰어난 기량과 성장 과정은 사회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첫째, 스포츠 영웅의 등장은 사회적 신분 상승의 대표적 사례로 여겨진다. 스포츠 영웅들은 자신의 노력과 능력을 발휘하여 극단적인 가난과 어려움에서 벗어나 부와 명예를 얻게 되는데, 이는 개인의 노력과 실력이 성공의 열쇠라는 능력주의와 개인주의 이념을 강화한다. 둘째, 스포츠 영웅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생산과 유지에 기여한다. 스포츠 영웅의 등장은 계층이 유동적이고 열린 사회라는 믿음을 심어주며, 이를 통해 지배집단의 기득권과 특권을 정당화한다. 셋째, 스포츠 영웅은 정치적 의미를 지니는데, 그들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열광은 정치경제적 현실의 문제로부터 국민들을 회피하게 하고 의식을 무디게 한다. 즉, 스포츠 영웅은 지배집단의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공고화하는 데 이용되는 주요한 문화적 기제인 것이다.
1.2. 스포츠 영웅과 지배 이데올로기
스포츠 영웅은 지배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포츠 영웅이 상징하는 엄청난 부와 명예는 사회적 신분 상승의 대표적 모범적 사례로 칭송된다. 이는 사회의 개인주의, 능력주의, 유동적인 열린사회 등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유지하며 증진시키는데 기여한다.
비판론적 접근에서는 '사회적 신분상승의 기제로서 스포츠'에 대하여 회의적 인식을 갖는다. 오히려 부와 명예를 얻는 스포츠 영웅 탄생은 극히 예외적인 현상으로 보고, 대다수 많은 선수들이 경험하는 교육의 부실 및 결핍, 짧은 선수 생활, 은퇴후 직업 불안정 및 경제적 손실에 주목한다. 따라서 스포츠는 사회적 신분 상승이 사회에 '만연하고 있다'는 상징적 의미를 증진하고 유지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스포츠 영웅주의는 개인의 노력과 능력 여하에 따라 사회적 최상의 위치에 오를 수 있는 평등적이며 사회적으로 신분 상승이 유동적인 열린 사회라는 사회의 이상과 이념을 생산하고 유지하며 또한 강화하고 있다. 개인의 노력의 결과로 그려지는 성공과 실패는 개인에게 책임을 묻게 되는 책임소재의 개인주의이다. 이러한 책임 소재에 대한 개인주의는 사회 구조적인 불평등 구조와 관행에 대한 문제의식을 흐리게 하며 오히려 사회 불평등에 관한 사회 구조적 문제 해결을 왜곡하게 된다.
지배계급은 현재의 불평등적 구조를 유지하며 그들의 '사회적 성공'을 '사회구조'보다는 '자신,개인'의 노력 탓으로 돌리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포츠 영웅 탄생은 개인 노력과 성공의 인과관계를 견고히 만드는 좋은 이데올로기적 도구가 된다. 이를 통해 능력주의가 정당화되며 지배집단에서 이미 혜택을 받은 집단에 매우 유리한 이데올로기가 된다.
따라서 스포츠 영웅의 존재는 정치적으로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국민들에게 환호를 가져다 주는 스포츠 영웅은 정치적, 경제적 현실의 문제에 대한 해결로부터 우리를 회피하게하고 현실에 무감각하게 만든다. 즉, 스포츠 영웅에 대한 열광과 관심은 피지배집단의 의식과 에너지를 스포츠 영웅에게로 수렴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처한 문제의 관심을 회피하게 하고 의식을 무디게 한다.
1.3. 스포츠 영웅의 정치적 기능
스포츠 영웅은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참고 자료
윤여광, & 이인희. (2005). 스포츠 영웅의 미디어프레임과 수용 특성 연구. 언론과학연구, 5(3), 373-410.
임재구. (2009). 스포츠미디어를 통한 헤게모니와 영웅주의.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17(3), 35-52.
경향신문. (2007). 영웅은필요한가. 통통글밭. https://www.khan.co.kr/
조성식. 스포츠 영웅의 비판론적 접근: 스포츠 영웅의 이데올로기. 연세대학교. 51-64
Japan Sports Agency. (n.d.). https://www.mext.go.jp/sports/en/index.htm
한국에 밀리던 일본 ‘약진’…스포츠청 신설 효과?. (2016.08.18.). 연합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737514
한국체육정착학회. (n.d.). https://ks-sp.or.kr/%ED%95%99%EC%88%A0%ED%96%89%EC%82%AC%EC%95%88%EB%82%B4/9650879
스포츠청 설립을 위한 시민연대. [스포츠청 설립을 위한 시민연대]. (2021.09.16.). 제1차 스포츠청 설립을 위한 포럼 : 왜 스포츠청을 설립해야 하는가?[영상]. YouTube. https://youtu.be/Eu7sB7z4fO8?si=4qPRRARP5xWtQ0nG
최만식. (2021.09.09.). ‘스포츠청 설립 필요합니다’ 시민운동 본격화…전문가 포럼으로 첫 걸음.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photo/2021/09/09/J5OKIMR2JNGEYA777TLLYCR5IY/
[새법령] 스포츠기본법 (제정 2022. 2. 11. 시행). (2022.02.07.). 법률신문. https://www.lawtimes.co.kr/news/176209
국가법령정보센터. (n.d.).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d=014135&ancYnChk=0#0000
체육정책과 김현목. (2019.02.08.). 체육 분야 구조혁신을 위한 민관합동 ‘스포츠혁신위원회’ 출범. 문화체육관광부. http://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7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