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계기착륙장치
1.1. ILS
ILS(Instrument Landing System)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공항에 착륙하도록 돕는 중요한 장치이다. ILS는 1930년대 후반에 등장하였으며, 1947년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에서 활주로 접근 및 착륙 유도용 국제 표준 시설로 채택되었다. ILS는 글라이드 슬롭, 로컬라이저 및 마커 비콘이라는 장비를 이용하며, 공항 활주로 주변 및 접근 경로에 설치되어 전파를 발산해 비행기가 자동으로 고도 및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로컬라이저는 비행기와 활주로의 좌우 정렬을 맞춰주는 역할을 하며, 활주로와 정확히 일직선상의 경로로 접근하여야 안전한 착륙이 가능하다. 글라이드 슬로프(GS, GP : Glide Slope, Glide Path)는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중인 항공기에 가장 안전한 착륙각도인 3도의 활공각 정보를 제공한다. 마커비콘은 착륙하는 항공기에 수직상공으로 전파를 발사함으로써 진입로상의 일정한 통과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ILS의 단점으로는 전파 반사의 영향으로 전파의 질이 저하되어 항공기의 대기 및 원거리 주기로 인한 공항 수용능력이 떨어지며, 방위각이 좁고 활공각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곡선 진입이나 곡각도 진입이 불가능하여 고정익 외에 회전익이나 STOL 등의 항공기에 활용도가 좁다는 점이 있다. 이러한 ILS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MLS(Microwave Landing System)이다.
1.2. MLS
MLS는 계기착륙장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대체 시스템이다. MLS(Microwave Landing System)는 5GHz(5,032 ~ 5,091MHz)대의 마이크로웨이브 전파를 이용하여 비행기의 방위각, 고저각, 정밀 거리 정보 등을 제공한다.
MLS의 지상 시스템은 방위각 안테나, 고저각 안테나, 정밀 DME, 후방 방위각 안테나 등으로 구성된다. MLS의 방위각 시스템(AZ)은 ILS의 로컬라이저와 유사하지만 그 영역이 훨씬 넓다. 또한 ILS의 마커 대신 정밀도가 기존 DME의 600ft 대신 100ft로 향상된 DME/P를 이용하며, ILS의 후방 접근 영역 대신 BAZ(Back Azimuth)를 사용한다.
MLS의 가장 큰 장점은 ILS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MLS를 이용하면 보다 정확한 경로 설정이 가능하여 복잡한 운항 경로를 따라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곡선 접근이 가능하여 공항 접근 및 착륙 시 안전성이 향상되고, 회항 및 대기 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그러나 MLS 시스템 구축 비용이 막대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MLS가 가진 장점에 비해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MLS는 ILS를 대체할 수 있는 보다 진보된 계기착륙장치라고 할 수 있다.
1.3. ILS와 MLS의 비교
ILS와 MLS의 비교는 다음과 같다. ILS는 VHF(118~112MHz) 또는 UHF(328~336MHz) 대역의 전파를 사용하여 비행기의 진입각도와 방위각을 알려주는 시설이다. 반면 MLS는 5GHz(5,031~5,091MHz)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방위각, 고저각, 비행 정보 등을 제공한다. ILS의 유효섹터는 그다지 크지 않은 반면 MLS는 그 유효 통달 거리와 각도가 훨씬 더 넓다""
MLS는 ILS에 비해 곡선 접근과 복수 활주로 동시 계기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착륙 시 안전성이 향상되고 회항 및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MLS는 ILS에 비해 시스템 구축 비용이 더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ILS는 안테나 전면의 평탄지역과 장애물 제한 지역이 넓어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전파 반사의 영향으로 전파 질이 저하되어 공항 수용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MLS는 ILS에 비해 설치 조건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전파 왜곡이 적어 운용 등급 격상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합적으로 MLS는 ILS의 단점을 보완한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MLS 시스템 구축을 위한 막대한 비용이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 항공기의 분류
2.1. 경항공기
경항공기는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로, 공기보다 비중이 가벼운 기체(수소가스, 헬륨가스)를 기밀성 주머니에 밀봉하여 그 주머니가 배제한 부피의 공기와의 무게의 차, 즉 정적인 부력을 이용하여 공중으로 부양한다. 동력을 장비하고 조종하는 것이 비행선이며, 동력 없이 자유롭게 부양하는 것을 기구라고 한다. 경항공기는 공기보다 무거운 중항공기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경항공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비행체들이 포함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비행선과 기구가 있다. 비행선은 수소나 헬륨 가스로 부력을 얻어 공중에 떠다니는 형태의 비행체이며, 기구는 동력장치 없이 부력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