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외생변수 통제방법
1.1. 대조군 설정
대조군 설정은 실험연구 시 특정 처치를 가한 집단과 처치를 가하지 않은 집단을 두어 특정 처치에 따른 효과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대조군이 없는 경우, 실험 처치로 인한 연구 결과인지 다른 요인에 따른 연구 결과인지 규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조군을 설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실험처치의 효과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즉, 대조군 설정은 처치군의 결과와 대조군의 결과를 비교하여 처치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외생변수 통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1.2. 환경 통제
환경은 인간에게 정서적, 행동적으로 지속적이고 강력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므로, 연구 전체 과정에서 연구환경을 통제하여 외생변수 개입의 기회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는 환경통제가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분야, 특히 현장연구(field study)의 경우에는 연구환경의 통제에 더욱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연구 환경에 대한 올바른 규명과 효과적인 통제가 매우 중요하다.""
1.3. 자료수집 시간적 고려
연구 주제에 따라 자료수집 시기가 연구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시기, 시간, 계절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피로나 안녕감, 혈압 등의 측정을 아침에 했는지 오후에 했는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연구 주제와 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료수집 시간을 정하고, 이를 연구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동일한 처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연구 시에는 동일한 처치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실험연구에서는 특정 처치의 내용과 방법이 동일하도록 단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작성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또한 조사연구의 경우 구조화된 면접조사표를 준비하여 자료수집 과정에서 동일한 처치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1.5. 자료수집 절차의 일관성 유지
자료수집 절차의 일관성 유지는 연구 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자료수집 장소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자료수집자의 특성이 대상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연구대상자와 종속변수를 측정하는 사람이 서로를 모르게 하고, 대상자가 실험군에 속하는지 대조군에 속하는지 모르게 하는 이중차단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를 통해 자료수집 절차의 일관성을 유지함으로써 외생변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1.6. 측정도구와 관찰자의 신뢰도
측정도구와 관찰자의 신뢰도는 연구 결과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혈압, 체중, 기타 생리적 지수 등은 측정할 때마다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