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 걷기 보건프로그램 기획

  • 1
  • 2
  • 3
  • 4
  • 5
  • 6
  • 7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독거노인 걷기 보건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개요
1.1. 건강증진사업의 의의
1.2. 사업목적 및 운영방향
1.3. 사업방법
1.4. 광역자치단체 사업

2.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운영 사례
2.1. 하남시 보건소 사례
2.2. 홍천군 보건소 사례
2.3. 예산군 보건소 사례

3.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한계점 및 개선방안
3.1. 사업 추진체계의 한계
3.2. 대상자 참여 및 접근성 제한
3.3. 지역사회 자원 연계 부족

4.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개요
1.1. 건강증진사업의 의의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은 지자체가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생활실천 및 만성질환 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지역사회 특성과 주민의 요구가 반영된 프로그램 및 서비스 등을 기획, 추진하며, 사업 영역 간 경계를 없애고 주민 중심으로 통합·협력하여 수행한다.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지역 주민의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및 건강행태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건강환경 변화 및 HP2030 등 국가 중장기 목표와 지역사회 건강증진 목표를 고려한 통합건강증진사업 계획 수립이 이루어진다. 셋째, 지역사회의 현황, 주민요구도, 건강영향요인 등을 반영한 지역 맞춤형 계획이 수립된다. 넷째, 코로나19 등 감염병 위기 대응에 따른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추진방안이 마련되어 철저한 방역 조치 하에 운영이 이루어지며, 취약계층 대상 건강증진사업 우선 실시 및 모니터링이 강화된다. 다섯째, 통합건강증진사업 내 영역 간 협력, 주민참여, 내외부 자원연계를 통한 사업추진이 이루어지고, 비대면 및 온라인 건강증진사업 수행방식이 다양화되고 있다.


1.2. 사업목적 및 운영방향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목적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지역 주민의 건강증진사업 체감도 및 건강행태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다. 운영방향은 중장기적 방향과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실행계획 수립, 코로나19 등 감염병 위기 대응에 따른 사업 추진방안 마련, 사업 수행환경 변화에 따른 전략의 다양화, 시도 중심의 성과관리 체계 강화, 교육 운영 관리 내실화, 예산의 별도 관리 등이다.


1.3. 사업방법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사업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역사회 건강문제, 주민요구 등 현황분석 후 우선순위가 높은 건강문제를 선정하여 목표를 정하며 그에 따른 사업 대상자, 사업영역과 사업량 등을 선택한다. 다양한 서비스 제공 장소 및 방법을 고려하여 보건소에 직접 내소, 생활터(학교, 직장, 경로당 등), 가정을 직접 방문하거나 주민과 직접 대면이 어려운 경우 다양한 비대면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일회성이 아닌 상담 등과 연계되어 지속가능한 사업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보건소는 지역사회 내 건강증진사업의 총괄, 조정, 연계 역할을 수행하며 내외 자원의 효과적 파악 및 협력을 위한 '협의기구' 구성, 운영을 권장한다. 또한 지역사회 주민이 건강증진사업 기획에 참여하고, 점진적으로 사업 전 과정을 주도하게 하여 지역사회 전반적 변화를 유도하는 주민 참여형 건강증진 전략을 수행한다.


1.4. 광역자치단체 사업

광역자치단체인 '시도(市道)'가 수행하는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은 관할 지자체들의 보건의료 수준을 높이고 건강격차를 해소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시도 단위에서는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고 추진하여 관할 시군구의 건강증진사업을 지원한다. 시도 단위의 사업은 시군구와 동일한 목적과 영역을 갖되, 시군구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사업이나 시군구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사업을 중심으로 기획된다. 예를 들어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노인 및 치매 관리, 정신건강증진 등의 사업을 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도는 '시도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을 운영하여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지원단은 각 시군구의 사업기획 및 수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하며, 시군구 간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체계를...


참고 자료

고연자, & 현미열. (2013). 웃음치료가 골관절염 노인의 통증, 우울 및 삶의 질에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 22(4).
송그룸,조혜연.남은우. 강원도 한 농촌지역에서의 노인 우울증 경감을 위한 사회적 처방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대한보건연구. 2019;45(4):77~87.
송미숙, 홍애령, & 박영월. (2019). 한국형 노인 우울검사 척도 기반 노인체조 프로그램의 우울증 완화 효과 분석. 인문사회 21, 10(6), 1773-1786.
오명규, & 이정희. (2019). 노래 부르기 활동을 통한 노인 스트레스 및 우울 감소에 미치는 영향-트로트 노래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15(2), 51-75.
염수빈, 홍은주, 박봄, & 조원근. (2017, June). 원예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증 감소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In 2017 (사) 인간식물환경학회· 농촌진흥청 공동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pp. 91-91).
허윤구, 정원상, & 이만균. (2014). 13 주간의 야외 그룹 걷기운동이 노인 여성의 우울증 및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1351-1364.
황정우, 이강욱, 김정유, 이동하, & 김두명. (2017). 동거 및 독거노인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대인관계의 조절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5(1), 36-62.
김현국, 박영순, & 송영명. (2012). 노인의 대인 관계 정도 및 여가활동 참여가 노년기 우울과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6(1), 1-15.
강선영. (2010). 우울증 노인의 재활레크리에이션 경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2), 125-133.
유정옥, & 김정순. (2015). 여성 노인 대상 기능성게임 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1), 84-96.
노인의 우울과 자살 징후, 정신이 건강해야 삶이 행복합니다_ 대한신경정신의학회
BDI(Beck depression Inventory)_ 벡의 우울척도 측정도구
RCS(Relationship Change Scale_ 문선모(1980) 번안, 대인관계 측정도구
노인우울증의 체계적인 접근_ 김현, 2017, 좋은땅
노인우울증_ 국가건강정보포털의학정보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19/2020061904465.html
고독이 당신의 뇌와 몸을 위협한다(조선일보 2020.06.20.)
http://www.mohw.go.kr_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https://chs.kdca.go.kr/chs/index.do - 지역사회 건강조사
https://inhealth.kohi.or.kr/front/user/bbs/BD_selectBbsList.do?q_bbsCode=1043&q_tmplType=f&q_estnColumn1=10 - 22년 통합건강증진사업 총괄안내서
https://www.hongcheon.go.kr/health/contents.do?key=868 - 홍천군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https://www.yesan.go.kr/health/sub03_06_01.do - 예산군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https://www.kgd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8585 - 경기도민일보 ‘눈길’서비스
https://www.hanam.go.kr/health/contents.do?key=922 - 하남시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지역사회보건간호학1,2 - 수문사(2022)
안양희 외(2021).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제2판, 현문사
안옥희 외, 2020, 『성인간호학Ⅰ』, 현문사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광진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