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의언어사용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 언어 문화의 실태와 개선방안
1.1.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와 문제점
1.2. 청소년 언어 문화의 긍정적 측면
1.3. 청소년 언어 문화의 부정적 측면
1.4. 청소년 언어 문화 개선을 위한 방안
1.4.1. 학교 교육적 접근
1.4.2. 가정 교육적 접근
1.4.3. 사회적 제도 및 환경 개선
1.5. 청소년 언어 문화 지도 방안
1.5.1. 인터넷 채팅 세대와 외계어 집단 분리
1.5.2. 바람직한 언어 사용 습관 형성 교육
1.5.3. 문법과 맞춤법 중시의 글쓰기 문화 확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 언어 문화의 실태와 개선방안
1.1.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와 문제점
먼저 청소년의 언어 사용 실태를 살펴보면,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일상적으로 욕설이나 비속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초등학생의 97%, 중고등학생의 99%가 욕설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은어나 유행어의 경우에도 초등학생 97%, 중고등학생 100%가 사용해 본 적이 있다고 대답하였다.
이처럼 청소년들은 공격적이고 비규범적인 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강도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욕설의 경우, 학년이나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하는 등 이를 용인하는 태도가 심각한 수준에 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단순히 의식의 문제가 아니라 청소년들의 언어 실태에 있어 심각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의 이러한 언어 사용은 자신들의 집단 정체성과 위계질서를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성세대와의 단절을 부추기는 역할을 하고 있다. 더불어 이는 청소년들의 정서적, 언어적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2. 청소년 언어 문화의 긍정적 측면
청소년 언어 문화의 긍정적 측면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년들의 언어는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선구적 역할을 한다. 사회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이러한 문화 변동의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청소년 문화는 한 사회의 생동감 있는 발전을 위한 활력소 역할을 하며, 세대가 바뀜에 따라 청소년들의 언어를 통해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전파된다.
또한 청소년들 간의 소통과 유대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청소년 언어는 또래 집단 내에서 소속감과 동질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비밀스러운 은어나 유행어를 통해 집단 구성원 간 의사소통이 원활해지고 집단 내 유대감이 형성된다. 이는 청소년기 심리적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청소년들의 언어는 기성세대와의 소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부나 기관에서 청소년 대상 정책을 수립할 때 청소년들의 언어를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의 금연 광고에서 청소년들의 언어방식을 차용하여 공감대를 형성한 사례가 있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언어 문화를 이해하고 ...
참고 자료
한국교육학회 (1997) 인성교육. 서울. 문음사.
백경녀 (2001)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가톨릭 대학교 석사논문
이석주 (2002) 대중 매체와 언어, 서울. 역락
이순례 ( 2007) 언어 사용 실태 분석을 통한 국어 순화 지도 방안, 충북대학교 석사논문.
허덕향, (2013), 청소년 욕설 사용 실태와 도덕 교육적 개선 방안 연구
권희린 (2013) B끕 언어, 서울. 네시간
장경희 외 (2011) 청소년 언어실태 언어의식 전국 조사 국립국어원
구현정(2002), 통신언어 - 언어 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국어학』39, 국어학회
박동근(2001), 통신언어의 유형에 따른 언어학적 기능 연구, 『어문학연구』11,
백경녀(2001), 청소년의 언어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오창석(2010), 청소년의 통신 언어 사용실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경아(2005), 통신언어의 오용 실태와 지도 방안,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