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활속의 응급처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1.2. 심폐소생술의 역사
1.3. 심폐소생술의 변화과정
1.4. 심폐소생술 시행방법
1.5. 호흡 보조 장비
1.6. 자동 심장충격기의 원리와 구성
1.7. 자동 심장충격기의 사용법과 주의사항
1.8. 생존 사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정지된 상태에서 흉부 압박, 인공호흡, 심장제세동 등의 과정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뇌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정지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매우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일련의 과정이다. 심정지는 예측하기 어려우며, 특히 가정과 직장 등 의료 시설이 아닌 장소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60-80%에 달하므로 심정지의 첫 목격자는 주로 가족, 동료, 친구 등 평범한 일반인이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 경과하면 뇌의 비가역적 손상이 시작되어 신속한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 심폐소생술을 통해 뇌와 심장으로 가는 혈류를 유지하면 제세동 가능성이 높아지고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일반인들도 심폐소생술을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1.2. 심폐소생술의 역사
심폐소생술은 갑자기 심장이 멎은 사람을 살리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이다. 과거에도 급작스러운 심정지가 발생한 사례가 종종 있었을텐데 과연 어떤 형태의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었을까.
구약성경 열왕기하 4장으로 보게 되면 인공호흡을 암시하는 듯한 구절이 나온다. "엘리사가 집에 들어가보니 아이가 죽었는데 자기의 침상에 눕혔는지라... 아이 위에 올라 엎트려 자기 입을 그의 입에, 자기 눈을 그의 눈에, 자기 손을 그의 손에 대고 그의 몸에 엎드리니 아이의 살이 차차 따뜻하더라... 아이가 일곱 번 재채기 하고 눈을 뜨는지라"라는 구절에서 엘리사가 아이를 살리기 위해 아이 위에 올라가 자신의 입을 아이의 입에 맞추었다는 행동묘사가 있는데 이는 현대의 인공호흡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라는 점을 통해 심폐소생술의 역사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식적으로 의학에서 대상자와 목격자의 입을 통한 인공호흡은 1732년 스코틀랜드 출신 의사인 '타사크'가 광산에서 연기를 흡입하고 쓰러진 광부에게 처음 시도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 후 소생술의 체계적인 틀을 갖추어지기 시작한 것은 1767년 암스테르담 구조학회에서부터다. 당시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서는 매년 400명이 넘는 많은 익사자가 발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암스테르담 구조학회가 활동을 시작한 지 4년 만에 150명 이상의 익사자를 구조하는데 성공하게 된다. 이후 유럽의 여러 국가와 미국의 주요 도시에 인명 구조를 위한 여러 가지 조직이 생겨나게 되었다.
가슴을 압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처음 소생에 성공한 사람은 1892년 독일의 의사 '마스'이다. 그는 입천장이 갈라지는 병인 구개열 수술을 받기 위해 '클로르 포름'이라는 약물로 마취된 9세 남아에게 갑작스럽게 심장마비가 발생하자 가슴 중앙의 흉골 부위를 분당 약 30~40회 정도 압박하여 소생시켰다고 보고된 바가 있다. 이는 현재 분당 100~120회 이상 압박하는 흉부 압박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심폐소생술의 모습을 ...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폐소생술”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처치 가이드 “소아 심폐소생술”
국민건강보험공단 “생명을 살리는 심폐소생술의 역사와 변화” https://blog.naver.com/nhicblog/222120899465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심폐소생술”
서울대학교병운 응급처치 가이드 “자동 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의 원리 https://blog.naver.com/ohooms/221885234354
대한심폐소생협회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방법”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9
대한심폐소생협회 “국민행동지침”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8172780&page_idx=1122
대한심폐소생협회 “생존사슬”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7
『생활 속의 응급처치』, 김진회 저, 국립공주대학교출판부, 2009
2015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 - 사단법인 대한 심폐소생협회
[네이버 지식백과]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네이버 지식백과] 구급의학/소생의학 [Emergency Medicine/Resuscitation] (학문명백과 : 의약학, 신상엽)
[네이버 지식백과] 근사체험의 의학적 연구 (1) -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차원으로의 이동이 있을 뿐. (죽음, 또 하나의 시작, 정현채)
[네이버 지식백과] 심폐소생술 (행정안전부 재난대비 국민행동요령)
[네이버 지식백과] 구강대 마스크 인공호흡 [mouth to mask breathing, 口腔對~人工呼吸]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포켓ㆍ마스크 [pocket mask, Taschenmaske]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마스크ㆍ백 [mask-bag, Maske-Sack]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위키피디아] Face shield (https://en.wikipedia.org/wiki/Face_sh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