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기적 유전자 비평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1.1. 이기적 유전자의 핵심 주장
1.2. 과학적 설명과 대중화 시도
1.3. 도킨스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
1.3.1. 지나친 일반화와 시대착오적 발상
1.3.2. 인간의 특수성 고려 부족
1.4. 밈(Meme) 개념의 도입과 한계
1.5. 도킨스 이론에 대한 평가
2. 이기적 유전자론에 대한 반론
2.1. 유전자 중심적 견해의 문제점
2.2. 생명체의 통합적 이해 필요성
2.3. 데니스 노블의 '생명의 음악' 론
3.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도킨스의 해석 비판
3.1. 어머니를 기계로 취급한 표현의 오류
3.2. '부모의 투자' 개념에 대한 비판
3.3. 유전적 근연도에 의한 해석의 한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1.1. 이기적 유전자의 핵심 주장
이기적 유전자의 핵심 주장은 다음과 같다.
리처드 도킨스는 이 책에서 다윈의 진화론을 새롭게 해석하여 유전자 중심적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도킨스에 따르면, 진화의 핵심 단위는 개체가 아닌 유전자이다. 그는 "모든 성공한 개체의 유전자는 이기성을 지니고 있다."라고 주장한다. 즉, 개체는 유전자의 수단에 불과하며 유전자의 번식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다.
유전자의 목적은 자신을 복제하고 후대에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개체의 행동과 심리는 유전자의 이기적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겉으로 보기에 이타적인 행동도 실제로는 유전자의 이기적 동기에 의한 것이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식을 아끼는 것, 동료 간 협력하는 것 등은 결국 유전자의 생존과 번식을 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또한 도킨스는 유전자와 개체의 관계를 "생존 기계"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유전자가 개체의 행동을 간접적으로 프로그래밍하여 제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체는 단순히 유전자의 복제와 전달을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
이처럼 도킨스는 진화와 생명체의 행동을 유전자 중심적으로 해석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이는 종의 이익보다는 개별 유전자의 이익이 진화의 핵심 동력이라는 관점이다.
1.2. 과학적 설명과 대중화 시도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는 과학적 설명과 더불어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도킨스는 이 책을 통해 기존의 다윈주의 진화론을 유전자 수준에서 새롭게 풀어내면서도,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수학적이고 인문학적 접근을 시도했다. 그는 책 서론에서 "이 책은 마치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공상 과학 소설처럼 읽어야 한다. 그러나 이 책은 공상 과학 소설이 아니라 과학이다. 누구나 과학을 아주 단순화하면 과학을 대중화할 수 있다. 나는 과학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수학적인 언어로 몇 가지 미묘하고 복합한 생각들을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했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처럼 도킨스는 전문적인 학술서가 아닌, 일상적인 예시와 비유를 통해 진화론의 핵심 개념을 대중들에게 쉽게 전달하고자 했다. 특히 그는 유전자 중심의 관점을 통해 생물의 행동과 진화를 설명함으로써, 다윈의 자연선택설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했다. 이는 기존의 생물학 지식을 대중화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론은 단순한 과학 지식의 전달을 넘어, 당시 학계와 대중에게 많은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생명체의 행동과 진화를 유전자 중심으로 해석하면서, 기존의 자연선택 개념을 새롭게 정립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히 과학적 차원을 넘어 철학적, 윤리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처럼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는 과학적 설명력과 대중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진화론의 핵심 개념을 유전자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정립하는 한편,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후대 생물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현대 진화론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1.3. 도킨스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
1.3.1. 지나친 일반화와 시대착오적 발상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에서 동물 행동과 진화를 유전자의 관점에서 해명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지나친 일반화와 시대착오적 발상을 보여줬다.
예를 들어, 도킨스는 9장 '암수의 다툼'에서 동물의 행동을 설명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잠재적인 의붓자식은 모두 죽여 버리는 방법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새끼를 유산하고 빨리 새로운 배우자를 찾는 것이 암컷에게 유리하다.", "이 자식은 충분히 컸기 때...
참고 자료
전 세계 남성화장품 매출액, 2013년, 국가통계포털
과학인물백과, 리처드 도킨스, 이두갑(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과학사 전공)
스티븐 로우즈, 우리 유전자 안에 없다, 이상원 옮김, 한울, 199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