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신기간 신체적 심리적 변화, 산후의 신체적 적응, 산욕기 간호사정, 산모의 안위와 안녕증진, 임신•출산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 - 임신•출산 여성의 국가 정책 및 보건의료지원 정책 - 임신•출산 여성의 보건의료서비스 사회적, 경제적 영향 - 임신•출산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사회, 경제적 특성 - 사회경제적 박탈이 임신•출산 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임신•출산 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자보건 정책
1.1. 모자보건사업의 개요
1.1.1. 모자보건사업의 개념 및 목적
1.1.2. 모자보건사업의 발달과정
1.1.3. 모자보건사업의 중요성
1.2. 모자보건사업의 지표
1.2.1. 신생아 및 영아사망률
1.2.2. 주산기사망률
1.2.3. 모성사망비 및 모성사망률
1.2.4. α-index
1.3. 모자보건지표 현황
1.4. 지역사회 모자보건사업
1.4.1. 모성보건사업
1.5. 모성보건 관리
1.5.1. 혼전관리
1.5.2. 산전관리
1.5.3. 산욕기 관리
1.5.4. 중년기 여성의 건강관리
1.6. 영유아 보건사업의 중요성
1.6.1. 영유아 건강관리의 정책추진 방향
2. 산후우울증
2.1. 최근 우리나라의 산후우울증 현황
2.2. 산후우울증의 원인
2.3. 산후 우울증이 미치는 결과
2.4. 이슈를 통한 방안 모색
2.4.1. 산후우울증 자가진단 키트 배부
2.4.2. 교육 프로그램 접근성 개선
2.4.3. 취약계층의 여성 대상 정신건강 사업 전개
2.4.4. 정신건강 사업의 홍보 및 인식개선
2.5. 간호사/의료인으로서 할 수 있는 노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자보건 정책
1.1. 모자보건사업의 개요
1.1.1. 모자보건사업의 개념 및 목적
모자보건사업은 "생애주기별 건강에서 가장 기초가 되며, 한 나라의 국민건강과 나아가서는 삶의 질을 추구하는 근간"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모자보건위원회는 모자보건사업을 "모성의 건강유지와 육아에 대한 기술을 터득하여 정상분만과 건강한 자녀를 갖도록 하며, 예측 가능한 사고나 질환, 기형을 예방하는 사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 모자보건법에서 모자보건사업은 "모성과 영유아에게 전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모성의 생식건강 관리와 임신, 출산, 양육, 지원을 통하여 이들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모자보건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지역사회건강수준을 증진시키는 것 중 하나로 모성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임신과 분만에 수반하는 모든 합병증 발생위험을 감소시켜야 한다. 셋째, 다음번 임신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 넷째, 신생아 사망률을 감소시켜야 한다. 다섯째, 불임증을 예방하고 치료해야 한다.
1.1.2. 모자보건사업의 발달과정
모자보건사업의 발달과정"은 다음과 같다.
1421년 영국의 헨리 8세 때 신생아 등록제도가 처음 생겨 생정통계를 산출하면서 모자보건사업의 시작이 되었다. 이후 1861년 영국, 미국, 프랑스 등에서 최초의 계통적인 영아 사망 조사연구가 수행되었다. 1872년 영국에서 생활보호법이 제정되었고, 1876년 미국 뉴욕주 아동복지법이 제정되었다. 국내에서는 1923년 노선복, 한신광에 의해 어머니 교실 및 영유아 보건사업이 시작되었다. 1945년 미군정 시절 보건후생부 예방국 방역과에 모자보건계가 설치되면서 정부차원의 관심이 시작되었다. 1973년 모자보건법이 공포되고 모자보건센터가 설치되었으며, 1995년 보건소법이 지역보건법으로 개정되었다. 1999년에는 전국 23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모자보건 선도사업이 추진되었고, 2007년에는 보건복지부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에서 모자보건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1.1.3. 모자보건사업의 중요성
모자보건사업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므로 중요하다. 둘째, 제한된 자원과 재원의 투입으로 영구적이고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다른 사업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정도가 크다. 셋째, 여성과 아동의 건강은 다음 세대의 인구의 자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넷째, 임산부와 어린이는 질병에 쉽게 이환되고, 병에 걸리면 사망률도 높으며, 치유된 후에도 기형 및 불구의 후유증이 평생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예방사업으로 얻는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이다.
1.2. 모자보건사업의 지표
1.2.1. 신생아 및 영아사망률
신생아 사망은 생후 4주(28일) 이내에 사망하는 것을 말하며, 4주 이후에서 1년 미만에 사망하는 것은 후기 신생아 사망이다. 국가의 건강수준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인 영아사망률은 출생 후 1년 미만의 영아 사망 수를 1년간 출생 수로 나눈 것에 1000을 곱한 수치이다. 또한 신생아사망률은 생후 28일 이내의 신생아 사망 수를 1년간 출생 수로 나눈 것에 1000을 곱한 수치이다. 이러한 신생아 및 영아사망률은 국가의 건강수준과 모자보건 수준을 나타내는 주요한 지표이다.
1.2.2. 주산기사망률
주산기사망률은 산모의 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태아의 건강상태도 파악가능한 모자보건 분야의 대표적 지표이다. 주산기사망률은 같은 연도의 28주 이후의 사산 수와 생후 1주 이내의 사망 수를 합한 것을 1년간 출생 수로 나누어 1000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산전관리, 분만처치, 산후관리 정도를 나타내므로 그 사회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지표는 영아사망률과 신생아사망률을 종합한 것으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상태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 모자보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1.2.3. 모성사망비 및 모성사망률
모성사망비는 해당 사회의 산전관리, 분만처치, 산후관리 정도를 나타내므로 사회경제적 수준을 반영한다. 모성사망비는 해당 연도의 임신, 분만, 산욕 합병증으로 사망한 모성 수를 해당 연도의 출생 수로 나누어 100,000을 곱한 수치이다. 모성사망률은 동일 연도의 임신, 분만, 산욕 합병증으로 사망한 모성 수를 15~49세 가임기 여성 수로 나누어 1,000을 곱한 수치이다.
모성사망비는 한 나라의 사회경제적 발전 정도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표로서, 개발도상국일수록 모성사망비가 높고 선진국일수록 낮다. 예를 들어 201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모성사망비는 11.5명, 미국은 17.4명, 일본은 5.0명이다. 우리나라의 모성사망비는 OECD 국가 중 평균 수준에 해당한다.
모성사망률은 임신, 출산, 유산 등과 관련된 사망을 나타내는 지표로, 모성사망비보다 포괄적이다. 우리나라의 모성사망률은 2017년 기준 7.0명이다. 이는 선진국 수준에 해당하지만,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
모성사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전관리, 분만관리, 산후관리 등 모성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산후조...
참고 자료
정윤경(2022). 지역사회간호학실습1 임상실습지침서, (pp. 103-105). 배영출판사.
지역사회 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편(2022). 지역사회간호학1,2, (pp.224-266., pp.629-665).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22). 제10판 여성건강간호학2, (pp. 86-104). 수문사.
경기도 평택시 보건소.
https://www.pyeongtaek.go.kr/health/contents.do?mId=0101030000
통계청. http://kostat.go.kr/
보건복지부 2020년 모자보건사업 지침 및 서식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지역사회간호학2| 소애영 |수문사 | 2020.02.28
산모 20% 산후우울증, 치료는 1% 불과 "지원 필요"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357
파이낸셜뉴스, '복지 사각지대' 산후우울증.. 산모·아기까지 위협한다
https://www.fnnews.com/news/201805281717352231
[단독]산후우울증 느는데… 여전히 ‘혼자 끙끙’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191010/97803309/1
N 의학정보, 산후 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617
보건복지부, 생애 초기 건강관리 시범사업, https://blog.naver.com/mohw2016/222042908776
산후 우울증이 소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오의숙,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48, No. 5, 2005
여성의 우울증과 대응방안의 모색, 양정선, 대한여성건강학회, 여성건강 11(1), 2010.06, 55-70(16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