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임상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임상심리학은 심리학의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와 실천을 통해 인간의 심리적, 정서적 불편감을 이해하고 완화시키는 응용심리학이다. 임상심리학은 1896년 라이트너 위트머(Lightner Witmer)가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세계 최초로 "심리 치료소(Psychological Clinic)"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91년 미국심리학회 임상심리분과회에서는 임상심리학을 "지적, 정서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부적응과 장애 및 불편감을 이해하고 예측하며 완화시키기 위해 심리학적 원리, 방법, 절차를 광범위한 임상집단에 적용하는 분야"라고 공식적으로 정의하였다.
1.2.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임상심리학자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검사자로서의 역할이다. 임상심리학자들은 심리학적 지식 및 이론을 기반으로 내담자의 지적, 정서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및 행동적 부적응과 불편감 및 장애를 이해하고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내담자를 평가하고 진단을 내린다. 이를 통해 내담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주요 심리검사로는 지능검사, 투사검사, 객관화 검사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검사 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전문가 집단이 임상심리학자들이다."
둘째, 연구자로서의 역할이다. 임상심리학자들은 심리학적 이론과 검사 과정을 통해 내담자를 이해하고, 나아가 특정 정신병리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연구한다. 이들은 관찰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가설을 검증하고 기존 이론을 발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윤리 기준을 준수하며, 내담자의 사생활 보호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노력한다."
셋째, 치료자로서의 역할이다. 임상심리학자들은 심리검사와 행동 관찰, 면담 등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을 파악하고, 정신분석치료, 인지행동치료, 집단치료 등 다양한 심리치료 기법을 활용하여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이들은 체계적으로 표준화된 치료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누구나 일정 수준의 교육과 수련을 거치면 비슷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2.1. 심리검사자
2.1.1. 심리검사의 종류와 활용
임상심리학자들은 내담자의 지적, 정서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및 행동적 부적응과 불편감 및 장애를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심리검사 도구를 사용한다. 대표적인 심리검사로는 지능검사, 투사검사, 객관화검사 등이 있다.
지능검사로는 웩슬러 지능검사가 사용되는데, 이는 성인의 지적 능력을 전반적으로 측정하는 검사이다. 투사검사로는 로샤 잉크반점검사, 주제통각검사(TAT), 벤더-게슈탈트검사 등이 활용된다. 이들은 모호한 자극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성격 특성과 심리적 상태를 평가한다. 객관화검사로는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 아동 행동 평가 척도(CBCL), 성격평가 질문지(PAI) 등이 있는데, 이는 표준화된 문항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 특성을 양적으로 측정한다.
이러한 심리검사의 활용 목적은 단순히 진단에 국한되지 않고 점차 확장되는 추세이다. 현재 심리검사는 의사결정, 심리학 연구, 자기이해와 개인적 성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그 가치와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임상심리학자들은 각 검사의 특성과 장단점을 숙지하고, 내담자의 사례에 가장 적합한 검사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2.2. 연구자
2.2.1. 연구 방법 및 윤리
임상심리학자들은 심리학적 이론 및 심리 검사 과정들을 통해서 내담자를 이해하기도 하지만 특정한 정신병리나, 혹은 심리적인 어려움이 있는 내담자가 있었을 때 정신병리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나 도구를 개발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상황이 되었을 때 이 질병이 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