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기후변화와 환경 파괴의 심각성
인간의 편리한 삶 뒤에 가려진채 고통받고 있는 환경
산업혁명 이후 인간은 계속해서 발전의 발전을 거듭해 왔다. 자동차, 버스, 지하철, 비행기, 기계, 로봇, 컴퓨터, 휴대폰 등 다양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류는 전보다 훨씬 편리한 삶을 살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편리함 뒤에 숨겨져 있던 환경의 고통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산업 활동을 하면서 사용한 화석연료와 산림 훼손으로 인해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지고, 그 외 인류가 내뿜는 온실가스 등이 대기에 쌓이면서 지구의 온도를 점점 높이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 20세기에 지구 평균 기온이 약 0.74℃ 상승하였고, 해수면은 10~25cm가 상승하였다. 또한 지표면의 빙하와 적설지대의 면적이 1960년대 이래 10% 감소하였으며, 결빙기간과 겨울철이 짧아진 반면 집중 호우와 같은 극한 기상 현상이 증가하였다. 즉, 지구온난화현상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지구온난화현상은 그동안 인간이 자신의 편의를 위해 환경의 존재를 잊은 것에 대해 복수라도 하듯이 기후변화와 같은 형태로 인간에게 고통을 돌려주고 있다. 사이클론, 허리케인, 쓰나미와 같은 재난과 여름마다 찾아오는 폭염 등이 그 예이다. 미얀마 중남부 지역을 덮친 사이클론 '나르기스', 미국 뉴올리언즈시를 삼켜버린 카트리나, 그리고 인도네시아를 초토화시킨 쓰나미 등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으로 엄청난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이 계속해서 환경을 파괴시킨다면 앞으로 닥쳐올 재난은 감당하기 어려운 재앙이 될 것이다. 지구온난화와 그로 인한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재난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는 산림 및 숲의 조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2. 산림의 중요성과 사막화 문제
산림은 지구온난화의 대표적인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중요한 흡수원이다. 산림생태계는 지구 기후를 조절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숲은 지구대기시스템의 급작스러운 변화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햇빛과 강수가 지표면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걸러줄 뿐만 아니라 증산작용을 통해 토양의 물을 대기 중으로 내보내면서 한낮의 높은 기온을 낮춘다. 또한 산림은 우리에게 신선한 산소를 공급해 준다. 광합성작용을 통해 온실기체인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숲은 미세 기후와 대기의 온실기체를 조절함으로써 지구 전체적인 기후시스템에 영향을 주고 기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숲에 있는 나무줄기와 잎은 강수를 차단하여 물이 한꺼번에 땅에 내리는 것을 저지하고, 나무의 뿌리는 흙과 돌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여 홍수나 산사태의 피해도 막아준다. 200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산림이 1년 동안 우리에게 주는 여러 가지 혜택을 가격으로 계산해본다면 국민 총생산의 10% 상당이며, 국민 한 사람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78만원에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아마존과 아프리카 밀림 등 지구의 허파라고 불리는 흡수원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과거 농업이 발달하면서 산림파괴는 급격하게 증가했다. 베트남과 같은 나라는 농업시대로 들어가면서 농사를 짓기 위해 산림의 80%를 훼손했으며 필리핀에서도 벌목과 농업의 확장으로 인해 전체국토의 70%에 달하던 산림이 현재는 25%도 되지 않는다. 열대지역을 포함한 제3세계 국가의 산림은 땔감을 구하기 위해 산림을 파괴했다. 그리고 현재 세계 곳곳에서 도시화 되는 지역이 많아지면서 산을 비롯한 모든 산림 자원들과 숲들이 파괴되고 있다. 이같이 계속적으로 산림자원이 파괴되고 파괴될수록 지구온난화현상과 기후변화는 점점 더 심해질 것이다. 이에 따라 파괴된 숲을 되살리고 기존의 숲을 잘 관리하고 보전하는 것이 온실가스 저감에 중요하다.
1.3. 연구의 목적 및 구성
연구의 목적 및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로 인한 사막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국제적, 정부 정책적, 사회적, 개인적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서론에서는 기후변화와 환경파괴의 심각성, 산림의 중요성과 사막화 문제를 다루었다.
본론에서는 사막화의 원인과 현황, 사막화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 국내외 정책과 사회적·법적 대응방안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특히 중국과 몽골의 사막화 대응 정책, 한국과 몽골의 협력사업 등을 다루었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고, 향후 과제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와 사막화에 대한 국제사회, 정부, 기업, 개인 차원의 종합적 대응 필요성을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