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라 실피드 작품의 음악 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발레의 역사
1.1. 무용의 탄생
1.2. 발레의 정의
1.3. 궁정발레
1.4. 오페라 발레
1.5. 낭만발레
1.5.1. 낭만주의
1.5.2. 낭만발레의 특징
1.5.3. 낭만발레 시대를 대표하는 무용수
1.5.4. 낭만발레 시대 대표작품
1.6. 낭만발레의 쇠퇴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발레의 역사
1.1. 무용의 탄생
무용은 인간의 삶이 시작되면서부터 함께 시작되어 왔다. 구석기 시대부터 종교적 의미와 생산적 의미로 제사를 지내면서 자연스럽게 춤이 생겨났다. 이때에 종교는 모든 정신활동의 가장 중요한 매개체로 여겨졌기 때문에 무용은 종교의식과 결합하여 신성시 되었다. 이 시대의 무용은 여신에게 비는 출산을 위한 춤 또는 동물을 흉내내는 춤과 제사 의식에서의 춤, 사냥의 춤 등으로 모든 것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수단이 이 춤의 의미였던 것이다. 이 시대의 춤이 정말 인간의 원초적인 또는 본능적인 표현이라 생각하며 현대에 표현기법의 시초가 아니였나 하는 생각을 해볼 수 있다.
1.2. 발레의 정의
발레(Ballet)란 어원이 이탈리아어 "발라레(Ballare)"를 명사화한 "발레또(Balletto)" 또는 "발로(Ballo)"가 프랑스식 표기법으로 나타난 것으로, "노래하고 연주하며 춤추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발레는 대표적으로 낭만발레, 고전(Classic) 발레, 현대 발레로 구분된다.
16세기 프랑스 궁정에서 시작된 발레는 고도의 테크닉과 체계적인 기법의 훈련을 요하는 무대 예술이며, 우아함과 세련된 동작의 연결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결국 발레가 탄생한 시대적 배경을 보면 르네상스 귀족들의 미를 발레에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발레의 움직임에서도 섬세하게 다듬어진 세련되고 우아하며 인위적인 선과 멋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동작 원리에서도 하늘을 향하는 천상지향적이며 이차원적이고 직선적이다. 마지막으로 발레를 정의해 보자면 이것은 무용의 한 부분이요, 음악의 한 부분, 드라마의 한 부분 그리고 의상과 무대 장치의 한 부분인 종합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1.3. 궁정발레
14, 15세기부터 귀족들의 저녁 연희가 시작되었으며 식사 후에 이러한 연희가 이루어졌다. 귀족 남녀들이 입장하여 가면을 착용하거나 가장을 하여 춤을 추는 모레스크(moresque) 같은 춤을 추었으며 이후 모리스춤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연희가 궁정발레와 다른점은 일관된 주제 즉 이야기의 전개가 없다는 것이다.
15세기말에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가 밀라노에 머물렀던 시절에 대공의 연희를 위해 무용수들의 의상을 제작하고 장치를 발명하기도 하였다.
17세기에는 이탈리아에서 음악극 즉 오페라가 크게 인기 있었는데 이때 무용은 연기를 위한 장식으로 삽입되었다. 이러한 춤추고 노래하는 극적인 연희와 이탈리아 무용은 프랑스에 영향을 주며 이때부터 같은시기에 이탈리아는 오페라의 발생지, 프랑스는 발레의 발생지로 알려지게 된다.
궁정발레가 프랑스로 도입된 것은 15세기 말로 보이며 이는 이탈리아 발레의 세련미, 화려함에 반한 프랑스왕 Charles 8세와 Louis 12세가 매혹되었기 때문이다. 뒤를 이은 Francos 1세때는 궁정발레가 보급되었다.
춤은 르네상스 궁정 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나날의 행사였으며 춤의 스텝과 기교가 정교해지고 어려워지면서 귀족들은 매일 연습해야 했다. 프랑스 귀족의 3대 의무인 왕에게 충성하고 전쟁시에는 전쟁에 참가하며 전시가 아닐때에는 왕의 연희에 참여해야 했다.
이 시기 이탈리아의 명문가인 메디치 가문의 카트린 드 메디치(Catherine de Medici)가 Francos 1세의 아들은 Henri 2세와 결혼하여 프랑스의 여왕이 되면서 궁정발레가 획기적으로 발전하였다. 이 여성은 쾌활하고 놀이와 무용을 좋아했으며 사치스러운 여흥을 일삼았다. 또한 성에서 궁정발레를 열었으며 본인스스로 춤을 추기도 하였다. 이처럼 이탈리아 문화에 대...
참고 자료
김말복,『무용 예술의 이해』,(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1) pp150120, pp274278
1. “발레의 탄생”, 김경자 역, 한성대학교 출판부
2. “역사 속의 춤”, 조앤카스 작(김말복 옮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 “서양 춤 예술의 역사”,수잔 오 작(김채현 옮김), 금광 출판
4. “무용사”, 김혜정 김경숙 안윤희 작 , 교학사
5. 발레와 현대무용 <<안무가와 그 작품>>, 장정윤, 이진수 공역
6. 네이버 백과사전
7. 위키백과사전
발레공연 성공사례를 통한 창작발레의 대중화 발전 방향모색 (문영철, 2015)
발레 포인트 슈즈의 시대적 발달사 (김수연, 2008)
발레교육의 역사적 흐름 (김정민, 2007)
19세기 발레작품에 나타난 낭만주의적 특성 고찰 (이자명, 2005)
발레역사에 따른 의상 변천에 관한 고찰 (이성은, 2001)
발레 감상법 (서차영)
무용 예술의 이해 (김말복)
발레와 현대무용 (김채현)
발레를 사랑한 태양왕 루이 14세
http://www.juliaballet.co.kr/board/bd.php?branch=&m=news&type=view&code=ballet&page=1&num=218&keyfield=&key=
낭만발레의 특징과 마리탈리오니
https://nermic.tistory.com/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