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동맥박리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1.2. 문헌고찰
1.2.1. 질병명 및 정의
1.2.2. 원인
1.2.3. 증상
1.2.4. 진단검사
1.2.5. 치료 및 간호
2. 대동맥 박리 사례 연구
2.1. 건강사정
2.1.1. 개인정보
2.1.2. 과거력 및 현병력
2.1.3. NANDA 건강사정
3. 간호진단 및 중재
3.1. 스텐트 삽입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3.2.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3.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3.4. 환경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3.5. 예후 불안정과 관련된 불안
4. 간호과정 적용
4.1. 간호진단 선정 및 우선순위
4.2.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4.3. 간호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봄철에는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로 인해 혈관 기능이 불안정해지면서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장 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심혈관 질환 환자들은 기온 변화가 큰 봄철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대동맥 박리와 같은 급사를 일으키는 질환들도 봄철에 더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겨울 동안 운동을 줄이다가 날씨가 풀리면서 갑자기 활동량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심혈관계 질환은 고혈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최근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이 질환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대상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 및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환자의 요구도를 충족시키며 예방 및 관리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문헌고찰
1.2.1. 질병명 및 정의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는 동맥벽의 내막과 중막 사이에 가성 내강이 생긴 결과로 동맥류의 유형이 아니다. 대동맥은 꽤 튼튼하고 두꺼운 관으로, 가장 안쪽의 내막(intima), 주로 근육으로 이루어진 중막(media), 가장 바깥쪽의 외막(adventitia)의 세 겹의 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동맥 박리는 어떤 원인에 의해 대동맥의 내막이 찢어지면서(intimal tear) 대동맥 내강(lumen) 안에 있는 혈액이 대동맥 중막으로 파급되고, 대동맥 벽이 파급된 혈액에 의해 내층과 외층으로 분리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대동맥 박리가 시작된 지 2주 이내의 상태를 급성 대동맥 박리라고 하며, 그 이후의 상태를 만성 대동맥 박리라고 한다."
1.2.2. 원인
대동맥 박리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고혈압은 대동맥 박리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 급성 대동맥 박리 환자의 80% 정도가 고혈압을 가지고 있다. 고혈압은 대동맥 중막의 탄력섬유를 변성시켜 대동맥 벽의 약화를 초래하여 박리를 유발한다. 특히 고혈압은 상행 대동맥보다 하행 대동맥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유전적 요인도 대동맥 박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마르판 증후군, 엘러스-단로스 증후군 등의 유전질환은 대동맥 중막의 구조적 문제를 야기하여 대동맥 박리의 위험을 높인다.
그 외에도 외상, 대동맥 축착, 중층 괴사 등도 대동맥 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임신 3기에 발생률이 높아지는데,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최근 혈관 시술이 보편화되면서 이에 따른 합병증으로 대동맥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다.
1.2.3. 증상
대동맥 박리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대동맥 박리를 앓는 환자의 90% 정도로 갑자기 앞가슴이나 등 부위에 찢어지는 듯한 심한 통증을 느낀다. 상행 대동맥 부위에 대동맥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 가슴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반면에 하행 대동맥에 대동맥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 등, 복부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대동맥 박리에 의한 통증은 매우 극심하기 때문에 보통 통증을 느끼고 응급실로 오게 된다. 이외에 실신하기나 숨이 차거나 기침을 하는 경우도 있으며, 불안을 느끼거나 구토를 하기도 한다.
대동맥 박리의 유형에 따라 상행 대동맥 박리(A형)와 하행 대동맥 박리(B형)로 구분된다. A형 대동맥 박리의 경우 심장에서 가까운 상행 대동맥 부위에 대동맥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 가슴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며, B형 대동맥 박리의 경우 다리 쪽으로 향하는 하행 대동맥에서 대동맥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 등, 복부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만성 대동맥 박리인 경우에는 무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1.2.4. 진단검사
대동맥 박리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법이 사용된다. 이 중 심전도 검사,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 자기공명 영상검사, 대동맥 조영술 등이 대표적이다"
심전도 검사는 심근경색증을 배제하기 위해 사용되며, 대동맥 박리 자체를 진단하기는 어렵지만 좌심실 비대나 허혈 소견을 보일 수 있다.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는 전체 환자의 80~90%에서 이상 소견을 나타내지만, 대동맥 박리를 확진할 수는 없다. 다만 종격동 확장, 내막의 석회화, 흉막 삼출액 등의 비특이적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심장 초음파 검사는 침상 옆에서 신속하게 대동맥 박리를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흉부 심장 초음파로도 내막 박리 소견을 관찰할 수 있고, 대동맥판 폐쇄부전증의 정도를 함께 평가할 수 있다. 경식도 심장 초음파는 경흉부 심초음파보다 더 좋은 이미지를 제공하여 진단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전산화 단층 촬영(CT)은 대동맥 박리의 진단과 범위 평가에 매우 유용한 검사로, 대부분의 병원에서 일차적인 진단 도구로 사용된다. 조영제를 사용하여 내막 박리의 소견을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자기공명 영상(MRI)은 대동맥 박리를 진단하는 데 있어 매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고 있지만, 검사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어 응급 상황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대동맥 조영술은 예전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진단의 민감...
참고 자료
YUTAKA TSUTSUMI. 감경아 외 12 편역. 최신심플 병리학. 대광의학. 서울. p201~202
양선희 외 8명 공저(2020.01.15.). 기본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p242~252
윤은자 외 11명 공저(2019.09.02.). 성인간호학Ⅱ. 파주. 수문사. p887~889
이강이 외 5명 공저(2018.2.). 건강사정. 서울. 현문사.
이은희 외 9명 외 공저((2019.2.20.).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 고문사. 서울. p239, 289, 295
서울아산병원 :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
약학 정보원 : https://www.health.kr/main.asp
황옥남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황옥남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http://gs.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cardiovascular_surgery/disease/view.asp?con_no=26508
네이버 지식백과
윤은자, 김숙영,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등(2021),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김숙영, 서연옥, 이은남, 이은자, 석소현, 등(2021),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정애, 박영선(2015), 쉽게내리는 간호진단, 수문사
https://www.health.kr/main.asp, 약학정보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8124, 날 풀렸다고 몸 풀다 큰일…'침묵의 살인자' 도사린 잔인한 봄, 중앙일보, 2023.03.18. 05:00
이한철, & 진한영. (2015). 대동맥 박리증의 분류에 따른 비중재적 및 중재적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89(4), 389-397.
장병익, 박진호, 신동구, 김영조, 심봉섭, 이현우, ... & 한승세. (1992). 대동맥박리의 임상적 고찰.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9(2), 334-342.
김병극, 박성하, 고영국, 정보영, 최동훈, 장양수, ... & 심원흠. (2005). 복부 대동맥류에서 인조혈관스텐트 (Stent-Graft) 를 이용한 경관적 치료의 단기 및 중기 임상 결과.
최현희. "외과계중환자실 환자에게 적용된 간호진단 분석 -NANDA 간호진단분류체계 이용-."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광주
중앙보훈병원 E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