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에서 조직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집단과 집단 내의 구성원들을 어떻게 이끌어갈 지가 중요한 것이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그곳을 관리하는 교육행정가는 조직을 이끌기 위해서 이에 대해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교육행정 관리자가 해당 교육기관에서 사람들을 가르치는 교육전문가에게 영향을 끼치고, 해당 교육전문가들은 학생들에게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에 나는 나의 진로와 관련해서 내가 어떤 교육행정가가 되어야할지,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인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2. 도덕적 리더십
2.1. 개념
도덕적 리더십은 지도자인 학교행정가의 도덕성과 구성원들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구성원 각자가 스스로의 리더가 되도록 자극하는 리더십이다. 즉, 교육행정가인 교장은 단순 일방 지시적 리더십을 발휘하기보다는 교사들이 리더가 될 수 있도록 자극하고, 조건을 확립하는 데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조직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리더십이다.
2.2. 학교 유형
도덕적 리더십에서는 학교를 도덕적 측면인 선의와 관리적 측면인 성공을 기준으로 4가지 유형으로 제시하고 있다. 각각 도덕적인 학교,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 비도덕적이며 비효과적인 학교, 정략적 학교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도덕적 학교는 선의는 높으나 성공은 낮은 학교이다. 교육의 본질인 도덕적 가치를 잘 전수하지만, 학교의 운영 면에서는 비효과적이다.
둘째,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는 선의와 성공 모두 높은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이다. 학교의 본질인 도덕적 가치를 전수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운영을 하는 이상적인 학교 유형이다.
셋째, 비도덕적이고 비효과적인 학교는 선의도 낮고 성공도 낮은 학교이다. 학교로서의 본질과 운영 면에서 모두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정략적인 학교는 선의는 낮으나 성공이 높은 학교이다. 도덕적 가치보다는 성과와 실적 위주로 운영되는 학교이다.
결국 학교가 바람직한 교육적 가치를 전수하는 것을 떠올리면 어떠한 것이 진정한 학교인지 알 수 있다. 도덕적 가치를 전수하는 것이 학교의 본질임을 고려하면, 첫 번째 학교인 도덕적 학교와 두 번째 학교인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가 본질적인 의미에서의 학교임을 알 수 있다.
3.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 만들기 전략
3.1. 전문직업적 사회화
전문직업적 사회화는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한 세 가지 전략 중 하나이다. 교사들의 교육 지식에 대한 자기 계발이 이뤄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를 통해 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게 된다. 교장은 교사들의 전문직업적 사회화를 위해 교사들의 자율적인 학습과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사들은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학생들에게 보다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즉, 전문직업적 사회화는 교사들의 역량 강화를 통해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3.2. 목표 설정과 공유가치 설정
학교라는 집단이 많은 구성원들로 이뤄지고, 반, 학년, 학교 급으로 나뉘는 것을 생각하면 반드시 공통된 목표와 가치가 공유되어야 한다. 도덕적이고 효과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교장이 학교 현장에서 목표 설정과 공유가치 설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교의 구성원들 간에 공통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지 않으면 각자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서로 충돌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장은 교사들과 함께 학교의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목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교장이 일방적으로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과 함께 논의하여 합의를 이뤄내야 한다. 이렇게 설정된 공동의 목표는 학교 구성원 모두가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교장은 학교 구성원들 간의 공유가치를 설정해야 한다. 공유가치란 조직 구성원들이 함께 믿고 따르는 가치관으로, 이를 토대로 조직의 방향성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학생 중심, 교사 존중, 윤리성 등이 학교의 핵심 가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치관이 학교 전체에 공유되면 구성원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