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교육에서 관용 표현에 대한 교육은 어휘 교육 범주에 포함된다. 그동안 한국어 어휘 교육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어휘 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면서 관용 표현 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관용 표현은 한국인들이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언어 표현으로, 그 양적·빈도적 측면에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효과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관용 표현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관용 표현 교육은 단순히 의사소통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 이해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듣기 영역에서 관용 표현을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관용 표현 듣기 활동 교안을 작성하고자 한다.
2. 듣기 교육의 중요성
2.1. 듣기 능력의 중요성
듣기 능력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생활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것은 듣기 활동이다. 일상생활에서 듣기는 말하기, 읽기, 쓰기 등 다른 언어 기능에 비해 가장 많이 활용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듣기 능력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이다. 둘째, 비판적으로 듣는 것은 비판적으로 읽는 것보다 어렵다. 듣기는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의 집중력과 분석력이 필요하지만 읽기는 반복적으로 검토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쉽다. 따라서 듣기는 능동적이고 능숙한 언어 기능이 요구되는 영역이다. 셋째, 회의실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대부분의 중요한 의사결정이나 협의가 회의실에서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인 듣기 능력은 업무 수행에 매우 중요하다. 넷째, 듣기 능력은 자동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 경험을 통해 향상되어야 한다. 듣기는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지속적인 훈련과 지도가 필요하다. 다섯째, 듣기는 국어 능력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최근 듣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듣기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2.2. 청자의 역할 중요성
청자의 역할 중요성은 듣기 교육에서 간과되어온 부분으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점차 인정받고 있다"" 국어과 교육에서의 듣기 교육은 그동안 말하기 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겨져 왔다. 그러나 언어 사용에 있어 듣기는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듣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효율적인 학습도 이루어지기 어렵다""
브라운(James I. Brown)은 듣기 지도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하고 있다. 첫째, 언어생활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것은 듣기 활동이다. 둘째, 비판적으로 듣는다는 것은 비판적으로 읽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다. 셋째,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회의실에서 이루어진다. 넷째, 사람이란 자동적으로 그리고 아무런 노력을 들이지 않더라도 효과적으로 듣는 요령은 습득하게 된다는 생각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 다섯째, 교육적인 경험을 계획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여타의 언어 기능과 마찬가지로 듣기도 개인차가 나타나므로 그것도 지도해야 한다""
따라서 듣기 교육에서는 청자의 역할에 주목하여 적극적인 듣기 전략을 익히고, 바른 듣기 태도를 기르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