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금체계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금관리의 정의와 중요성
1.1. 임금의 의의
1.2. 임금의 구성요소
1.3. 임금관리의 목표
1.4. 임금관리의 원칙
2. 임금수준 결정요인
2.1. 외재적 요인
2.2. 조직 내부 요인
2.3. 직무 요인
2.4. 개인 요인
3. 임금체계의 유형
3.1. 연공급
3.2. 직무급
3.3. 직능급
4. 우리나라 임금체계의 특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금관리의 정의와 중요성
1.1. 임금의 의의
임금이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노동력을 제공하고 이의 반대급부로 지급하는 금품의 일체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기업에서는 임금이란 용어를 급료 · 급여 · 봉급 · 보수 등 여러 가지로 표현하고 있다. 또 이들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급대상, 지급기간, 지급방법에 따라 편의적으로 사용한다.
임금(賃金, wage)이라고 하면 육체적인 노동을 위주로 하는 육체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시간급 또는 일당제의 명칭으로 노동의 반대급부를 단기적으로 지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봉급 · 급여 · 급료(salary)라고 하면 정신근로자를 대상으로 노동의 반대급부를 장기적으로 지급하는 주급, 월급, 연봉 등의 형태이다. 그러나 광의로는 포괄적 개념의 임금(wage & salary)으로 통용되고 있다.
임금은 근로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노동의 대가로 얻은 소득이어서 이것은 그들의 생활유지 향상의 원천이 되며, 기업의 입장에서 본다면 비용이다. 따라서 전자는 보다 많고 안정적인 임금지급을 요구하나, 후자는 그들이 기업목적의 달성을 위해 바친 노력 능률에 대응하는 수준에서 지급하려 한다. 이 때문에 임금은 인력의 유인과 유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관리는 인적자원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내용이 된다.
임금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서로 대립되는 두개의 개념이 있다. 즉 하나는 임금을 노동력의 가치나 가격으로 보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것을 노동의 대가로 보는 것이다. 이것은 임금을 노동력의 재생산비라고 하는 것과 노동의 행사에 대하여 지급된 것이라고 하는 생각과의 대립을 의미한다. 그 어느 것이 본질적 규정인가는 임금이 갖는 특질을 어떻게 고찰하는데 따라 다르다.
1.2. 임금의 구성요소
임금의 구성요소는 기준내 임금과 기준외 임금으로 구분된다"
기준내 임금은 기준임금 또는 기본급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근로계약에 정하여진 정상적인 근로조건과 근로시간에 따라 수행되는 노동의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이다. 기본급은 기본생활을 보장하는 것으로 기준외 임금을 구성하는 변동수당을 산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노동의 질이나 양 및 능력에 대응하는 것이다. 기준임금은 정상적인 노동을 보장하고 초과노동에 따른 노동강도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의도 가지고 있다.
기준외 임금은 근로계약에 정해진 보통의 근로시간 및 보통의 근로조건의 범위밖의 특수노동에 대해 지급되는 임금으로 수당과 상여금이 있다. 수당은 다시 고정수당과 변동수당의 두 종류가 있으며, 또는 법정수당과 법정외수당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러나 오늘날에 있어서의 임금구조는 점차 의미를 상실해 가고 있는데, 이유는 성과형 임금제인 연봉제가 확대되어 가기 때문이다. 연봉제에서는 임금항목의 존재가 상당수 의미를 상실한다. 기업이 지급해야 하는 연간 임금총액을 확정하면 그만이며, 단지 지급에 있어서는 이를 12개월로 분할하여 지급할 뿐이다.
1.3. 임금관리의 목표
임금관리의 목표는 노동력관리, 인간관계관리, 노사관계관리의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노동력관리 측면에서, 임금관리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한 노동력을 확보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임금은 근로자에게 있어 생존의 수단이자 생활의 기반이 되므로, 기업의 임금정책은 근로자의 적정 생계비를 보장할 수 있는 수준으로 책정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노동력의 보전과 확대재생산이 가능해진다.
둘째, 인간관계관리 측면에서, 임금관리는 기업 내 근로자 간 원활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동기부여의 기능을 한다. 즉, 근로자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임금이 배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과 직무의 상대적 가치에 따른 임금관리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노사관계관리 측면에서, 임금은 근로자와 사용자 간의 이익분배 행위이자 조정과 통제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편중된 임금관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사 간 협의와 합의가 요구되며,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노사관계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임금관리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기업의 ...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