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최근 한국 경제에 있어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제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몹시 크다. 한국 제조업의 경우 세계 10위 안에 드는 분야가 다수이며, 제조업 전체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할 때에도 한국은 미국과 중국, 일본, 독일 등의 뒤를 이어 세계 5위 제조업 생산국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경제에 대해 제조업이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상황에서, 전세계적 경기 불황의 상황 및 중국과의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을 맞이하여 지속적으로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분야로 평가되는 조선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제조업 산업 동향
2.1. 제조업의 정의
제조업이란 물질 또는 구성요소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새로운 제품으로 전환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며, 쉽게 말해 자연에서 얻은 생산물이나 원료를 가공하여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일이다. 하지만 단순히 상품을 선별, 분리, 포장, 재포장하는 경우와 같이 상품의 본질적인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는 활동은 제조 활동으로 보지 않는다. 음식료품, 섬유나 의복, 목제품, 종이제품, 플라스틱 제품, 기계와 장비 등을 만드는 모든 산업이 제조업에 해당한다. 경공업, 중공업과 같은 공업도 제조업에 해당하며 광업과 건설업도 제조업에 해당한다 할 수 있다. 주로 굴뚝이 있는 공장에서 제조 활동을 하므로 굴뚝 산업이라고 하며 산업 분류에서는 2차 산업에 해당한다.
2.2. 대한민국의 제조업 동향
우리나라의 제조업은 국가 경제성장에 있어 견인차 역할을 하며, 미래 국민의 먹거리 산업이라고 볼 수 있다. 제조업은 시대에 따라 급속히 변화하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써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에는 식료품과 옷감을 만드는 공업이 발달하였고 1970~1980년대에는 기계, 조선, 자동차 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이 발달하였다. 그 밖에 철강, 화학이 있으며 IT 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 제조산업의 동향은 밝은 편이 아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주요 선진국인 미국, 독일, 일본이 고부가가치 제조업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움직임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제조산업의 수출 비중의 경우 외환위기 전후 시점을 제외하고 97% 내외의 높은 수준을 차지할 만큼 국가산업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2020년 5월 29일 기준 제조업 생산, 가동, 출하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11년 4개월 만에 최악으로 추락하였으며,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4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은 전월 대비 6.4% 줄었고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의 생산도 6.0% 하락하였다. 이는 2008년 12월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3. 조선업 산업 동향
3.1. 한국 조선업의 최근 동향
한국 조선업의 최근 동향은 다음과 같다.
조선업의 경우 한국의 산업연구원에서 선정하는 한국 제조업 12대 주력산업의 한 축을 이루고 있으며,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 및 두산중공업 등 대기업들이 그 계열사로 조선업을 위한 기업체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이 전세계 조선업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매우 높아서, 현재까지도 조선 시장은 한국과 중국 및 일본 등 동북아시아 3국이 삼분하여 경쟁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