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이해
1.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역사와 발전
1.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와 기능
1.3.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세대별 특징
1.4.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성 요소
1.5.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유형
1.6.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조사의 경쟁
1.7.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최신 동향
2. QR코드의 이해
2.1. QR코드의 개요
2.2. QR코드의 장점
2.3. QR코드의 구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이해
1.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역사와 발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역사와 발전은 컴퓨터 기술의 혁신적인 이정표를 보여주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과정은 약 50년에 걸쳐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 시작은 1947년 12월 23일 벨 연구소에서 트랜지스터가 개발되면서부터이다. 이후 전자회로의 집적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했다.
1957년 설립된 페어차일드 반도체(Fairchild Semiconductors)가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하면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어 1959년 최초의 집적회로가 발명되었다. 1968년 고든 무어, 로버트 노이스, 앤드류 그로브는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사임하고 독자적으로 회사인 인텔(Intel)을 설립하였으며, 1971년 인텔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인 Intel 4004를 발명하였다.
Intel 4004는 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740kHz의 클럭 속도로 작동하며 2,300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다. 당시 이 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8 ~ +7 범위의 부호화된 숫자만 나타낼 수 있어 실용적인 산술 계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1세대 마이크로프로세서로는 주로 간단한 제어 장치용으로 활용되었다.
1972년 인텔은 최초의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인 Intel 8008을 개발하였고, 이어 1974년에는 Intel 8080이 출시되었다. Intel 8080은 상업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되었다. 워드 크기가 8비트로 늘어나면서 -128 ~ +127 범위의 부호화된 숫자를 나타낼 수 있었지만, 여전히 산술 계산을 수행하기에는 충분한 범위가 아니었다. 이 시기에는 모토롤라의 6800, 질로그의 Z-80과 같은 다른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들도 등장하며 인기를 얻었다.
1978년 인텔은 최초의 16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인 8086을 출시하였다. 16비트 워드 크기로 -32,768 ~ +32,767 범위의 부호화된 숫자를 나타낼 수 있어 산술 계산을 하기에 적합한 범위였다. 이 프로세서는 제어 응용뿐만 아니라 숫자 집약적 고속 처리 분야에서도 인기를 끌었다. 모토롤라도 16비트 프로세서인 68000을, 질로그도 Z-8000을 출시하면서 16비트 프로세서 시장을 주도하였다.
이어 1980년대 초반 인텔은 32비트 프로세서인 Intel 80386을 출시하였다. 32비트 워드 크기로 ±2×10^9 범위의 부호화된 숫자를 나타낼 수 있었고, 부동소수점 표기법으로는 훨씬 큰 숫자도 표현할 수 있었다. 이 프로세서가 본격적인 컴퓨터 CPU로 작동할 수 있게 되면서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시기 모토롤라도 32비트 프로세서인 68020을 출시하였다.
1986년 인텔은 80486 프로세서를 출시하였는데, 기본적으로 단일 칩에 80386 프로세서와 80387 산술계산 보조 프로세서가 결합된 구조로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모토롤라 역시 68030을 출시하였다.
1990년대 초반 인텔은 펜티엄 프로세서를 출시하면서 80586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이 프로세서는 산술 계산과 명령 실행 속도가 매우 빨랐다. 2000년에 출시된 펜티엄 4는 1.5GHz의 클럭 속도와 4,200만 개의 트랜지스터를 탑재하며 1,500MIPS(초당 백만 개의 명령어)의 성능을 보였다.
1995년부터 최근까지는 64비트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고성능 고속 프로세서가 출시되고 있다. 인텔의 코어 2, i3/i5/i7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64비트 프로세서는 과거의 미니컴퓨터 급 성능을 넘어 메인프레임 컴퓨터 수준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약 50년 동안 4비트에서 64비트로, 트랜지스터 수는 수백 개에서 수억 개로, 클럭 속도는 수백kHz에서 수GHz로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이를 통해 컴퓨터의 성능이 천배 이상 향상되었으며, 오늘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우리 삶 속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1.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와 기능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하나의 칩에 다수의 주변기기들이 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라고도 불린다. 이 CPU...
참고 자료
경기과학기술진흥원(2007). 33년 만에 찾아온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전환기 – 멀티코어 기술 동향
남시병(2007). 마이크로프로세서. 서울: 두양사
신주연(2012). QR코드, 시장에서 제대로 활용하려면. 한국마케팅연구원. 46(3), 71-75.
이재규(2013). 전자상거래원론. 서울: 법영사.
트렌드모니터(2012), QR코드 인지도 및 이용현황 조사 보고서.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안, 허선영, 메가존아이티평생교육원, 2021
따라하면서 배우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허경용, 한빛아카데미, 2019
Microprocessor Trend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John Mellor-Crummey, 2019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미래, Shekhar Borkar, Andrew A. Chien, 2011
Microprocessor Trend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John Mellor-Crummey, 2019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미래, Shekhar Borkar, Andrew A. Chien,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