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신병동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1.1. 드라마 주요 내용 요약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드라마에서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다양한 계층의 환자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내과에서 정신과로 발령받은 간호사 정다은이 첫 번째 환자인 오리나를 통해 정신질환의 실상을 경험하게 된다. 오리나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발레리나가 된 인물로, 조증상태로 입원하게 되는데 자신이 가진 직업과 가정환경에도 불구하고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항문외과 의사인 동료 정다은 간호사도 강박증상을 보이며 정신질환자의 모습을 띠고 있다. 이를 통해 정신질환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병이며,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수준과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불어 정다은 간호사 자신도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게 되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이 여전히 존재함을 드러낸다.
이 드라마는 정신병동의 실제적인 모습을 보여주고자 노력한다. 병동 내에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매복된 샤워기, 날카로운 물건 반입 제한 등의 제도적 장치가 존재하며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차이도 제시된다. 또한 환자들의 공격적이고 초조한 행동 등 정신질환자들이 겪는 증상들도 생생하게 묘사된다. 이를 통해 정신병동이라는 공간이 비현실적이거나 음산한 이미지가 아닌, 현실적이고 인도적인 치료공간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1.2. 정신병동의 현실성 있는 요소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에서 볼 수 있는 현실성 있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병동에서 제일 먼저 아침이 온다는 것이다. 이는 정신병동이 24시간 감시체계 하에 있고 환자들이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이나 침상 사이에 커튼이 없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정신병동에서는 환자들이 자해나 타해를 할 수 있는 기구를 소지할 수 없기 때문에 창문도 환자가 뛰어내리지 않도록 몸이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로만 열린다. 또한 침대 사이에 커튼이 없는 이유는 환자들이 그것을 활용해 자해하거나 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신병동에서는 창문과 침대 사이의 커튼이 없어 지극히 현실적인 환경을 연출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병동 내부에 매복되어 있는 샤워기가 현실성 있게 묘사되었다. 정신병동의 경우 환자들이 샤워기를 이용해 자해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노출된 샤워기 대신 매립형 샤워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샤워기를 이용해 자해하거나 타해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셋째, 명찰과 뾰족한 펜을 빼는 것 또한 현실성 있게 표현되었다. 정신병동에서는 환자들이 치료진의 물건을 빼앗아 자해할 수 있기 때문에 명찰이나 펜과 같은 물건을 환자가 소지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가위의 경우에도 환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필요시에만 꺼내 쓰는데, 이러한 장면들은 정신병동의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개념이 현실적으로 표현되었다. 개방병동은 응급증상이 거의 없고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잘 할 수 있는 환자들이 있는 곳이며, 폐쇄병동은 정신과적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환자들이 입원해 있는 곳이다. 폐쇄병동에서는 공격적 행동, 자해, 자살 시도 등 다양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는데, 실제로 오리나 환자가 정다은 간호사의 뺨을 때리는 장면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처럼 정신병동의 현실을 세부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정신병동에 대한 시각적 표현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에서는 정신병동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기존 드라마나 영화와는 다르게 보여주고 있다. 과거에는 정신병원이라는 소재를 사용할 때 어두운 분위기의 철제 계단, 하얀 벽, 쇠창살 창문 등을 주로 보여주었지만, 이 드라마에서는 푸릇푸릇한 화분과 식물들이 있고 밝고 쾌적한 분위기의 정신병동으로 세팅되어 있다.
이는 정신병동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을 탈피하여, 보호와 치료, 사회로의 복귀 등의 긍정적인 느낌을 표현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정신병동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는 시각적 효과를 주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정신병동에 대해 다르게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정신병동 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요소들, 예를 들어 환자 침상 간 커튼 부재, 창문 고정, 안전한 샤워기 설치 등을 실제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정신병동의 현실성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이 드라마에서는 정신병동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밝고 쾌적한 분위기를 연출하여 보호와 치료, 사회복귀의 의미를 내포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신병동 내부의 실제적인 요소들을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정신병동에 대한 현실감 있는 시각적 표현을 하고자 하였다고 볼 수 있다.
1.4. 드라마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