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업중단청소년 제3의 변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소년의 학업 중단에 대한 이해
2.1. 학업 중단의 개념과 용어
2.2. 학업 중단 청소년의 유형
3. 학업 중단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의 성과와 제3의 변수
3.1. 사회성 향상과 진로 지도 프로그램의 긍정적 성과
3.2. 제3의 변수가 미친 영향 가능성
3.2.1. 가정 요인
3.2.2. 또래 관계 요인
3.2.3. 지역사회 요인
4. 학업 중단 예방을 위한 학교 환경 개선 방안
4.1. 유연하고 자발적인 교육과정 운영
4.2. 예술 활동 등 다양한 체험 기회 제공
4.3. 학생 참여형 수업 강화
5. 청소년의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한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조사는 사회복지를 더 잘 실천하기 위해 시행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사회복지문제에 대한 명확한 파악과 문제 해결이 사회복지의 목적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그 과정에서 정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하여 사회복지 대상자들의 욕구를 더 잘 파악할 수 있다면 사회복지의 실천은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청소년의 학업 중단에 대한 이해
2.1. 학업 중단의 개념과 용어
학업 중단의 개념은 정규교육 과정 중에 3개월 이상 등교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학교 거부와 관련된 용어로는 학교 공포증(school phobia), 등교 거부(non-attendance at school), 학교 거절증(school refusal), 중도 포기(drip out, school failure), 무단결석(truancy), 학교 회피(school withdrawal), 부 등교(不登校) 등이 있다""
학교 공포증은 학교에서 경험한 불안이 심해서 학교에 가는 것을 싫어하거나 아예 가지 않으려고 하는 행동을 말하며, 등교 거부는 본인의 심리적 이유로 등교를 거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학교 거절증은 학교에 가기를 꺼리거나 거부하는 상태를 말하고, 중도 포기는 학생이 수업에 계속 참여할 의사와 상관없이 유급, 성적 저하 등의 이유로 도중에 중퇴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단결석은 부모가 모르거나 부모의 동의 없이 정당하지 못한 이유로 학교를 빠지게 되는 것을 말하며, 학교 회피는 계급적 적대감이나 종교적 이유 등으로 인해 자녀가 학교에 가지 않는 것을 부모가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부 등교(不登校)는 학교의 교육 전체를 부질없다고 생각하며 학생 자신이 학교에 가기를 적극적 혹은 자발적으로 중단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판단을 내리지 않는 상태에서 아침에 학교에 가기가 싫어 집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2.2. 학업 중단 청소년의 유형
학업 중단 청소년의 유형은 크게 자발적인 탈학교형, 초학업형, 비자발형의 개인부적응형, 그리고 환경불가피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자발적인 탈학교형은 원천적으로 학교 제도 자체가 청소년에게 맞지 않아 자발적으로 중퇴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학교라는 교육 환경이 자신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스스로 학업을 중단한다. 다음으로 초학업형은 학업 성취 수준에 대한 개인의 기대 수준이 학교에서의 학업 수준보다 높아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며 중퇴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학교 교육이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현시켜주지 못한다고 느껴 스스로 학업을 포기하고 다른 대안을 찾는다.
한편 비자발형에는 개인부적응형과 환경불가피형이 있다. 개인부적응형은 학업, 비행, 심리·정서,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 등의 문제로 인해 학교 정책과 학업에 적응하지 못해 중퇴하는 유형이다. 이들의 경우 학교 부적응으로 인해 자발적 의사와 무관하게 학업을 중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환경불가피형은 가정의 경제적 곤란이나 부정적인 사회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학업을 중단하는 유형이다. 이들의 경우 개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가정 여건이나 사회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부득이하게 학업을 중단하게 된다.
이처럼 학업 중단 청소년은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유형별로 중단 동기와...
참고 자료
박민수, "가정 내 지지와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 사회복지학회지, 2019.
이지은, "또래 관계와 청소년의 사회성," 청소년 심리학 저널, 2020.
최수진, "또래의 영향력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향상," 청소년복지연구, 2021.
한상우, "지역사회 환경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지, 2022.
이의정,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프로그램 참여과정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6.
휴넷평생교육원/‘청소년복지론’ 교재
국제신문/‘한 학기쯤 놀아도 괜찮아?‘/이미연/2016-01-29
연합뉴스/ ‘열다섯 살,꿈의 교실/’김영현/2008-01-09
서울신문/‘획일적 학교교육 무엇이 문제?’/강아연/2008-01-10